논문 상세보기

물러남[處]의 정치학 : 儒者와 국가권력, 그 적절한 距離의 모색 - 조선 중기 南冥 曺植의 出處를 중심으로 - KCI 등재

Politics of Resign: Focusing on Nammyong Jo Shik's Chulcheo(出處)

물러남[처]의 정치학 : 유자와 국가권력, 그 적절한 거리의 모색 - 조선 중기 남명 조식의 출처를 중심으로 -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4229
  • DOIhttps://doi.org/10.14381/NMH.2018.60.12.30.393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남명학연구 (The Nammyonghak Study)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The Nammyong Studies Institute)
초록

出處는 儒學에서 선비들에게 요구한 중요한 덕목이며, 많은 유학자들이 실천하기 위해 노력했다. 대표적으로 남명 조식은 출처를 君子의 큰 절조로 보았으며, 평생 ‘處士’로 실천했다.
그런데 문제는 조정의 계속된 출사요구를 거부한 남명을 퇴계와 같은 당대의 유학자들은 부정적으로 보아 그 의미를 축소하거나, 학문적 體認의 결과가 아닌 개인적 기질의 결과로 이해하기도 했다는 점이다. 그리고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경우에도 ‘기절’이나 ‘기상’, ‘절개’등 개인적 차원의 의미만을 강조하여, ‘정치를 외면하지 않았다’며 정치적 의미에 대해선 소극적으로 해석하는 경향이 있다.
이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남명의 처사적 삶과 사상을 보다 적극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남명의 ‘처’ 즉 ‘물러남’이 가지는 국가권력과의 ‘거리감’에 주목한다. 유학은 현실정치를 긍정하여 ‘나아가감(出)’을 강조했지만, ‘處-물러남’ 또한 강조했다. 이러한 ‘처’는 유학자들이 현실의 정치권력과 적절한 거리를 둠으로써 견제와 긴장을 만들어낸 요소이기도 했다.
남명은 이러한 ‘물러남의 정치학’을 잘 이해했으며, 그의 출처사상과 처사로서의 삶에 고스란히 담겨있다. 그래서 남명의 處는 개인적 기절의 결과로서가 아니라 국가권력에 대한 ‘경계’와 ‘비판’ ‘저항’의 의미를 갖고 있었다. 나아가 ‘폭력적 국가권력’을 ‘공공의 국가권력’으로 변화 시키려는 문제제기도 담고 있었다. ‘나아갈 줄만 알고 물러날 줄 모른다’는 당대 지식인들에 대한 남명의 비판과 그가 실천한 ‘물러남의 정치학’은 현대의 정치현실에 있어서도 부당한 권력을 비판하고 거부하는 정신으로 계승될 수 있으며, 나아가 권력의 성격을 보다 공적인 것으로 만들어나가 현대의 민주주의 발전에도 도움 될 수 있을 것이다.

Chulcheo(出處, working for state or living in seclusion) is the most important virtue required by scholars in Confucianism. And many scholars have tried to practice it. Typically, Nammyong Jo Shik(南冥 曺植) saw chulcheo(出處) as a great integrity of junzi (君 子, the Great Man), and practiced Cheosa (處士: not serving the power) for his whole life.
However, the problem was that Confucian scholars like Toegye negatively thought Nammyoung, who continuously refused Government’s appeals of entering government service. They diminished the meaning of Chulcheo(出處), and misunderstood it as a result of his personal character, not as a result of his academic achievement. In addition, even when it came to positive evaluation, they tended to emphasize personal meanings only such as integrity and to be passive in interpreting political meanings.
This study is aimed at more active understanding about Nammyoung’s life as Cheosa(處士) and his ideology in this awareness of problem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focuses on a ‘distance’ from the state power that Nammyoung’s ‘Cheo (namely, ‘Resign’) has. Confucianism was positive about real politics and emphasized not only ‘Chul(出, working for state)’ but also ‘Cheo (處, living in seclusion or resign).’ This ‘Cheo(處)’ was also a factor creating confinement and tension by keeping the Confucians at a proper distance from the political power of reality.
Nammyoung understood this 'Politics of Resign' well and it was intimately involved in his life as Cheosa(處士) and his ideology as Chulcheo(出處). Thus, Nammyoung’s Cheo(處) was not the result of individual characteristic, but meant ‘boundary’, ‘criticism’ and ‘resistance’ against the state power. Furthermore, it also raised the issue of changing the 'violent state power' into the ‘public state power’.
Nammyoung's criticism against the intellectuals at that time - ‘know how to move forward, but don’t know how to retreat’- and the ‘politics of retreat’ he practiced can be handed down to the spirit to criticize and reject unjust power in modern political reality. Furthermore, it can be helpful in developing modern democracy by making the character of power more public.

목차
국문초록
 Ⅰ. 들어가며
 Ⅱ. 남명의 출처와 퇴계와의 갈등
 Ⅲ. 남명의 ‘下學’ 강조와 그 출처의 성격
 Ⅳ. 남명의 물러남과 그 정치적 의미
  1. ‘中道의 실천’으로서의 물러남
  2. ‘淑世風敎’로서의 출처
  3. 물러남의 정치학, 儒者의 ‘자율성’
  4. ‘폭력적’ 권력에서 ‘公共’ 권력으로
 Ⅴ. 나오며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宋致旭(한국학중앙연구원) | Song Chi-wook (Academy of Korean Stud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