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ARIMA 모형을 이용한 한육우 사육두수 추정 KCI 등재

Estimation of the Number of Korean Cattle Using ARIMA Model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423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농업생명과학연구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초록

이 논문은 국내 한육우 사육두수를 시계열 모형인 ARIMA 모형을 이용하여 추정하였다. 소의 생리학적 특성을 반영하기 위하여 한육우 사육두수를 총 여섯 개의 범주(4개의 도축률과 2개의 출생률)로 나누었다. 이 여섯 가지 범주에 대해 ARIMA 모형을 적용하여 Box-Jenkins 절차에 따라 그 값들을 추정하고 예측하였다. 큰암소도축률과 큰수소도축률은 단위근을 갖는 불안정시계열로 나타나 차분하여 안정화시키고 나머지 4개의 변수들은 안정시계열로 나타나 그대로 모형의 식별, 추정 그리고 예측에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한육우 사육두수는 2012년을 최고점으로 점점 감소하다가 2018년을 최저점으로 다시 증가할 것 으로 분석되었다.

This paper estimates the number of Korean cattle using time-series ARIMA model. This study classifies the structure of the number of cattle into six indexes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cattle. This study apply ARIMA model to these six indexes according to Box-Jenkins procedure to identify, estimate and predict. The rates of slaughter for aged female and aged male cow is analyzed as non-stationary time series which has unit roots and other 4 indexes is analyzed as stationary time series. The differencing is applied to get rid of non-stationarity for the non-stationary time series. The results show that the number of cattle will be reduced from 2012 as a higher point and rebounded from 2018 as a lower point.

목차
초록
 ABSTRACT
 Ⅰ. 서 론
 Ⅱ. 실증분석
 2.1. ARIMA 모형의 이해
 2.2. 사용자료
 2.3. Box-Jenkins 절차에 따른 ARIMA 분석
 Ⅲ. 결론
 ≫ Literature cited
저자
  • 전상곤(경상대학교 농업경제학과(농업생명과학연구원)) | Sang-Gon Jeon (Dept. of Agricultural Econ., Gyeongsang National Univ. (Insti. of Agric. & Life Sci.)) Corresponding author
  • 박한울(경상대학교 대학원 농업경제학과) | Han-Ul Park (Graduate school, Dept. of Agricultural Econ., Gyeongsang National Uni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