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Jeongseon-gun had 892 Korean beef cattle farmers, and had 9,180 Korean beef cattle in September, 2010. Average fed cattle by farm was less than 20 heads. The small scale breeding ratio was higher than the case of Gangwon-do and the average country level. Jeongseon-gun tries to increase the beef cattle to 20,000 in oder to increase farm incom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sis the farmer's intention to the increasing feed scale. Data were collected by questionnaire.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cluster analysis were used to analyze. In the results of frequency analysis, about 92% respondents were agreed to expand the increasing scale to 20,000 heads. In order to accomplish the goal, about 63% respondents wanted complex for Korean native cattle breeding. About 62% respondents had intention to increase the feeding cattle heads. In the results of factor analysis, four factors were derived as "Government support", "Infrastructure construction", "Brand development" and "Construction logistics system". In the results of cluster analysis, three clusters were derived as "group that does not need support from the government", "group that needs construction of logistics system" and "group that needs support system".
        4,000원
        2.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은 한육우 사육두수 주기를 분석하고 이 주기를 기초로 한육우 사육두수를 예측하였다. 이를 위해 일정한 주기를 가지고 정점과 저점을 반복하는 싸인함수를 활용하였다. 과거 한육우 사육두수의 주기는 짧게는 5년부터 길게는 12년까지의 패턴을 보여주었고, 이러한 주기는 시간이 흐름에 따라 점차 길어지는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싸인함수를 활용하여 한육우 사육두수를 추정한 결과, 모형의 적합도가 0.95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이 모형을 이용하여 한육우 사육두수를 예측한 결과, 사육주기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나지만 저점의 사육두수는 160∼180만두 정도이고 정점의 사육두수는 320만두∼370만두 수준으로 예측되었다. 이러한 예측결과는 사육두수 불안정성에 따른 농가 소득 불안정성을 내포하고 있어 그에 따르는 적절한 정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4,000원
        3.
        2011.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은 국내 한육우 사육두수를 시계열 모형인 ARIMA 모형을 이용하여 추정하였다. 소의 생리학적 특성을 반영하기 위하여 한육우 사육두수를 총 여섯 개의 범주(4개의 도축률과 2개의 출생률)로 나누었다. 이 여섯 가지 범주에 대해 ARIMA 모형을 적용하여 Box-Jenkins 절차에 따라 그 값들을 추정하고 예측하였다. 큰암소도축률과 큰수소도축률은 단위근을 갖는 불안정시계열로 나타나 차분하여 안정화시키고 나머지 4개의 변수들은 안정시계열로 나타나 그대로 모형의 식별, 추정 그리고 예측에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한육우 사육두수는 2012년을 최고점으로 점점 감소하다가 2018년을 최저점으로 다시 증가할 것 으로 분석되었다.
        4,3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