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산지유통센터(APC)의 운영효율성에 관한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The Operational Efficiency of APC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424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100원
농업생명과학연구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초록

DEA모형에 의한 운영효율성 분석결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정부의「산지유통종 합평가」제도의 개선을 통해 사업실적 위주의 규모화ㆍ전문화ㆍ조직화에 초점을 맞춰 이루어져온 것을 경 영효율성 위주로 전환해야 할 것이다. 산지유통센터의 목적도 농산물의 부가가치를 높이는 것이고 이를 평가할 수 있는 지표를 개발하여 평가함으로써 농산물 산지유통센터 구성원들에게 실질적인 인센티브와 다양한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농산물 산지유통센터가 종합평가에 경 영의 중점을 두고 있기 때문에 이를 개선, 보완하기 위해 유통부가가치를 평가할 수 있는 지표의 개발, 평가에 대한 고객만족도 지표의 개발, CRM(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시스템 도입을 통한 고객관계 유지 실적을 평가할 수 있는 지표의 개발 등도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Assessment of APC has focused on large size, specialization, and structuralization based on business performance. In the future, first, it should be complemented to have correlation with management efficiency. Second, because of the rate of weight for each index,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pecific index or adjust allotting of marks so that there can be correlation between indexes. Third, since APCs have high values in the composite assessment and low values in the sales amount, it is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kinds of indexes, including the index to evaluate processing value-added, that of customer satisfaction with assessment, and that of customer relationship maintenance performance through introduction of a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system (CRM), in pursuit of balance. Lastl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able to help make APCs efficient in relation to integration of production organizations so that they will convert and develop into a basic product processing center in coping with changes in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 of agricultural marketing.

목차
초록
 ABSTRACT
 Ⅰ. 서 론
  1.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2 연구방법
 Ⅱ. 분석모형 및 자료
  2.1 분석모형
  2.2 자료 및 변수선정
 Ⅲ. 분석결과
  3.1 투입물 및 산출물의 기초통계량
  3.2 투입측면 CCR, BCC 모형 효율성 측정
  3.3 기술효율성과 규모에 대한 보수(RTS)
  3.4 매출액 규모별 효율성 분석결과
  3.5. 취급품목별 효율성 분석결과
  3.6 원물조달 형태별 효율성 분석결과
 Ⅳ. 요약 및 시사점
 ≫ Literature cited
저자
  • 김성은(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업경제학과) | Sung-Eun Kim (Dept. of Industrial Economics, Gyeongnam Nat'l Univ. Science and Technology)
  • 김진석(경상대학교 농업경제학과) | Jin-Suk Kim (Dept of. Agricultural Economics, Gyeongsang Nat'l Univ.)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