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학교 환경(통합교육, 특수교육)이 초등장애학생의 적응행동과 학교에서의 기능적인 과제 수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chool Environment (Integrated Education, Special Education) on Adaptive Behavior and School Functional Performa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Disabiliti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427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대한아동 ․학교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for Child and School)
대한아동·학교작업치료학회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for Child and School)
초록

목적 : 본 연구에서는 통합학교와 특수학교의 학교 환경에 따른 적응행동과 학교에서의 기능적 과제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설문조사로 진행되었다. 배포된 설문지는 통합학교 20부, 특수학교 20부 총 40부였으며 이 중 18부(45%)가 회수 되었다. 무응답 또는 다중 응답 문항이 있는 설문지 2부를 제외한 총 16부, 통합교육 대상자 총 4명, 특수교육 대상자 총 12명의 결과가 분석에 사용되었으며, 대상 학생을 4개월 이상 관찰한 교사가 본 연구의 평가도구인 적응행동검사(Korea Adaptive Behavior Scale; K-ABS)와 학교기능평가(School Function Assessment; SFA) 질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결과 : 통합교육 환경과 특수교육 환경에 따라 SFA와 K-ABS를 비교한 결과, K-ABS의 사회적 적응요인에서 통합교육 집단에서 특수교육 집단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p<.05). 각 학교 환경에 따른 집단내 SFA와 K-ABS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특수교육 환경에서 SFA와 K-ABS의 하위항목 간 상관관계를 이루는 항목이 더 많았다.
결론 : 연구를 통하여 통합교육 환경이 장애학생의 전반적인 적응능력과 학교생활 참여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작업치료사로서 학교작업치료를 위한 보다 체계적인 장애학생의 교육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한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장애학생의 적응행동과 학교에서의 기능적 수행은 교육 환경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작업치료사는 장애학생의 교육의 질과 참여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중요한 역할을 담당해야할 것이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daptive behavior and functional task performance according to school environment.
Methods :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survey. A total of 4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of which 18(45%) were collected. A total of 16 questions were analyzed except two questionnaires with no answer or multiple answers. The teachers who observed the target students for more than 4 months completed the evaluation tool(Korea Adaptive Behavior Scale and School Function Assessment) of this study.
Results : The results of the comparison between SFA and K-ABS according to the integrated education and special education environment are as follows. In the social adaptation factor of K-ABS, the integrated education group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score than the special education group.(p<.05).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SFA and K-ABS in the group according to each school environment, there were more items correlating with the sub items of SFA and K-ABS in the special education environment.
Conclusion : This study proved that the integrated education environment positively affects students' overall adaptation ability and participation in school life. Adaptive behavior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heir functional performance in schools differ according to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occupational therapists should attend an important role in improving the quality and particip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목차
국문초록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2. 연구 도구
  3. 연구 과정
  4. 분석 방법
 Ⅲ. 연구 결과
  1. 집단 간 동질성 검사
  2. 학교 환경(특수교육, 통합교육)에 따른 SFA와K-ABS 비교
  3. 특수교육 환경에서 K-ABS와 SFA간의 상관관계 분석
  4. 통합교육 환경에서 K-ABS와 SFA간의 상관관계 분석
 Ⅳ. 고 찰
 Ⅴ. 결 론
 REFERENCES
 Abstract
저자
  • 이예진(워싱턴대학교 세인트루이스 의과대학 작업치료학과) | Lee Ye-Jin (Program in Occupational Therapy, Washington University School of Me)
  • 변은진(연세대학교 대학원 작업치료학과) | Byun Eun-Jin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Graduate School of Yonsei University)
  • 김정란(연세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작업치료학과) | Kim Jung-Ran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Health Science, Yonsei University)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