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강진에도 견딜 수 있는 하이브리드 지진격리장치의 성능 검증 KCI 등재

Verification of Hybrid Seismic Isolation Device with Resistance to Earthquak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439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복합신소재구조학회 논문집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dvanced Composite Structures)
한국복합신소재구조학회 (Korean Society for Advanced Composite Structures)
초록

최근에는 다양한 중량의 구조물을 지진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지반으로부터 분리하는 면진장치로써 지반 격리용 받침이 활용된다. 지진의 피해를 저감시키는 설계방법 중에서 면진 설계는 구조물과 지반이 만나는 부분에 면진받침을 사용하는 방식으로 다른 내진/제진 설계 방법과 비교하면 가격대비 효율과 성능이 가장 우수하다. 본 연구에서는 지진 발생 이후 지속적으로 사용 가능한 새로운 개념의 자동복원 면진받침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러한 면진받침에 대한 성능을 검증하기 위하여 이론 적립 및 설계를 수행하고 실험체를 제작하여 실제 지진 데이터가 적용된 진동대 실험을 수행하였다. 기본특성실험, 면압의존성 실험, 속도의존성 실험, 변위의존성 실험에서 강도하중이 설계 목표치와 유사하였고, 거동 또한 설계값과 유사함을 확인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면진받침의 성능 검증을 분석하였다.

In recent years, a foundation separator has been used as an isolation device to separate various structures of heavy weight from earthquakes to protect them from earthquakes. Among the design methods to reduce the earthquake damage, the seismic design uses the seismic restraint at the part where the structure and the ground meet, and it has the best performance compared with other seismic / damping design methods. In this study, we propose a new concept of automatic restoration support system that can be continuously used after earthquake. In order to verify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countermeasure base, the theoretical calculation and design were carried out, and a shaking table experiment using actual seismic data was conducted. The basic properties, surface pressure dependence, velocity dependency, displacement dependence test results show that the intensity load is almost the same as the design target value, and the behavior is also similar to the design value.

목차
Abstract
 1. 서 론
 2. 거동 특성
 3. 구조상세
 4. 구조실험
 5. 실험결과 및 평가
 6. 결 론
 REFERENCES
 국문초록
저자
  • 조한민(인천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 Cho Han-Min (Department of Civil and Environment Engineering, Incheon National University)
  • 백창현(인천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 Baek Chang-Hyun (Department of Civil and Environment Engineering, Incheon National University)
  • 허종완(인천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 Hu Jong-Wan (Department of Civil and Environment Engineering, Incheon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