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제주도 마르형 분화구 내에 형성된 하논의 식물상과 복원 방안 KCI 등재

Flora and Restoration Plan of Hanon Paddy Fields Made in Maar Crater, Jeju Island, South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472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100원
한국환경생물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Biology)
초록

국내 최대 규모의 마르형 분화구 내에 형성된 하논은 제주도에서 유일하게 벼농사가 약 500년 동안 유지되고 있는 논 생태계이다. 이러한 하논의 식물상 특성과 복원 방안을 파악하고자 2015년부터 2018년 사이 총 8회에 걸쳐 식물상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관속식물은 55과 151속 194종 1아종 26변종 4품종으로 총 225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과별 분포현황은 벼과가 가장 많은 36분류군을 차지하였고, 다음으로 국화과 29분류군, 사초과 20분류군, 콩과 13분류군, 마디풀과 11분류군으로 나타났다. 하논에 출현한 식물의 생활형 조성은 일년생식물-단립식물-중력산포형-총생형 (Th-R5-D4-t)으로 나타났다. 희귀식물로는 물질경이 (Ottelia alismoides (L.) Pers.), 창포 (Acorus calamus L.), 물잔디 (Pseudoraphis ukishiba Ohwi) 3종이 확인되었다. 멸종위기야생식물은 멸종위기야생생물 II급인 삼백초 (Saururus chinensis (Lour.) Baill.) 1종이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은 15과 34속 41종 2변종으로 총 43분류군이 확인되었고, 도시화지수는 13.3%, 귀화율은 16.9%를 나타냈다. 현재 제주도 하논은 멸종위기야생식물, 희귀식물을 포함하여 높은 식물 다양성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제주도 유일의 벼농사 지역으로서 지속적으로 보전해야할 충분한 경관생태적, 사회문화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고 판단된다.

Hanon made in the largest maar crater in Korea, is the only paddy field ecosystem in Jeju Island that has been conducting rice farming, for the past 500 years. Flora surveys were conducted eight times, 2015-2018, to understand floristic characteristics and a restoration plan of the study area. As a result, vascular plants of Hanon paddy fields were listed 225 taxa that consist of 55 families, 151 genera, 194 species, 1 subspecies, 25 varieties, and 4 forms. The taxonomic group including the most species, was Gramineae (36 taxa). The next families were Compositae (29 taxa), Cyperaceae (20), Leguminosae (13), and Polygonaceae (11). Biological type of the Hanon was Th-R5-D4-t type. The rare plants revealed 3 taxa; Ottelia alismoides (L.) Pers., Acorus calamus L., Pseudoraphis ukishiba Ohwi. Endemic plant revealed 1 taxon; Saururus chinensis (Lour.) Baill. Forty three taxa were naturalized plants composed of 15 families, 24 genera, 41 species, and 2 varieties. The urbanization index and naturalized index were 13.3% and 16.9%, respectively. The Hanon has high plant diversity, including endemic plant and rare plants, and is the only rice paddy in Jeju Island. So, the Hanon has sufficient values in ecological and socio-cultural aspects, so it should be maintained continuously in the future.

목차
Abstract
 서 론
 재료 및 방 법
  1. 조사지 개황
  2. 연구방법
 결과 및 고 찰
  1. 식물상
  2. 생활형
  3. 특정식물
  4. 하논 생태계 보전 방안
 적 요
 REFERENCES
저자
  • 김명현(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기후변화생태과) | Myung-Hyun Kim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RDA)
  • 남형규(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기후변화생태과) | Hyung-Kyu Nam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RDA)
  • 어진우(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기후변화생태과) | Jinu Eo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RDA)
  • 권순익(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기후변화생태과) | Soon-Ik Kwon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RDA)
  • 송영주(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기후변화생태과) | Young-Ju Song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RDA)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