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영산강수계 죽산보의 식물플랑크톤과 이화학적 변화 KCI 등재

The Change of Phytoplankton Community Structure and Water Quality in the Juksan Weir of the Yeongsan River Watershed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474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환경생물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Biology)
초록

2010년 4월부터 2015년 12월까지 영산강 본류에 위치해 있는 죽산보의 상, 하류의 수질 및 식물플랑크톤 변화 양상을 파악하기 위해 연구를 수행하였다. 동일한 기간 동안에 두지점 모두 평균 수온은 17.3°C로 기록되었으며, 2011년부터 2014년까지는 약 16.3°C를 유지하다가 2015년에 17°C로 약 0.7°C 상승되었다. 조사기간 동안 식물플랑크톤의 종 조성은 총 288 분류군으로 남조류 17 분류군, 규조류 74 분류군, 녹조류 154 분류군 및 기타조류 15 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두 지점의 개체군 밀도는 500~29,950 cells·mL-1으로 조사되었으며, Y1지점은 850~29,725 cells·mL-1, Y2지점은 500~29,950 cells·mL-1으로 조사되었다. 두 지점의 평균 개체군 밀도는 Y1지점이 8,180 cells·mL-1, Y2지점이 7,530 cells·mL-1으로 상류지점의 평균 밀도가 더 높게 조사되었다. 우점종은 규조류인 Stephanodiscus속, Aulacoseira속이 높게 나타났으며, Stephanodiscus의 우점 빈도는 59%였고, Aulaocseira속의 우점빈도는 22%였다. 남조류의 전체속의 우점빈도는 17%였고, Y1지점이 19%로 Y2지점보다 2% 높게 나타났다. 그 중에 Microcystis속의 우점 빈도가 6%였고, Y1지점이 7%로 하류인 Y2지점보다 2% 높게 나타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Y1지점의 현존량 비율은 규조류가 전체의 52%, 녹조류가 24%, 남조류가 21%였고, Y2지점은 규조류 65%, 녹조류 18%, 남조류 13%로 상류 지점인 Y1지점의 남조류 현존량 비율이 더 높게 나타난 것을 볼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식물플랑크톤의 천이 현상 및 수질요인들과의 변화에 따른 원인을 파악하고 영산강 죽산보의 특성에 대해 신뢰성 있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으며, 이후 수생태계 변화를 평가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changes in phytoplankton and longterm water quality of Juksan-Weir in Yeongsan River that took place between April 2010 and December 2015. The number of species used in this study was 288, which consisted of 6% of Cyanophyta, 26% of Bacillariophyta, 53% of Chlorophyta and the others (15%). The standing crops of phytoplankton ranged from 500 cells · mL-1 − 29,950 cells · mL-1 with an average of 7,885 cells · mL-1. At the two site, 20 dominant genera of found. The dominant genera were 6 of Bacillariophyta, 6 of Cyanophyta, 7 of Chlorophyta and 1 of Cryptophyta. The most dominant genus among the phytoplankton was Stephanodiscus sp. (Total 59%, each 54% and 63%). The most dominant genus among the Cyanophyta was Microcystis sp., which had a cell abundance ratio of 17%. The results of two sites were 21% and 13%, and the upstream was higher than the downstream.

목차
Abstract
 서 론
 재료 및 방 법
  1. 대상지점 및 조사시기
  2. 식물플랑크톤의 분류 및 이화학적 분석
 결과 및 고 찰
  1. 기상 및 이화학적 환경요인의 변화
  2. 식물플랑크톤 군집 구성 및 우점속의 변화
  3. 식물플랑크톤의 현존량의 변화
  4. 환경 여건과의 상관성
 적 요
 REFERENCES
저자
  • 손미선(국립환경과학원 영산강물환경연구소) | Misun Son (Yeongsan River Environment Research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 정현수(국립환경과학원 영산강물환경연구소) | Hyeon Su Chung (Yeongsan River Environment Research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 박창희(국립환경과학원 영산강물환경연구소) | Chang Hee Park (Yeongsan River Environment Research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 박종환(국립환경과학원 영산강물환경연구소) | Jong-hwan Park (Yeongsan River Environment Research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 임채홍(국립환경과학원 영산강물환경연구소) | Cheahong Lim (Yeongsan River Environment Research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 김경현(국립환경과학원 영산강물환경연구소) | Kyunghyun Kim (Yeongsan River Environment Research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