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지역유형을 고려한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의 주민평가 및 개선방안 KCI 등재

Improvement and Evaluation of Resident Satisfaction Degree on Rural Village Development Project by Rural Territor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478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농업생명과학연구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초록

본 연구는 농촌지역 발전 및 주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추진된 정부의 다양한 정책 및 사업의 성과를 분석하기 위해 현재 추진 중에 있는 농촌지역개발사업 중 대표성이 있다고 판단되는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을 분석대상 사업으로 선정하였다. 분석을 위해 경남 2개 권역과 전남 2개 권역을 사례연구대상권역으로 선정하였다. 사업에 대한 만족도 분석결과, 전체적으로 사업추진에 있어서 각 지역유형별로 명확한 구분을 통해 만족도를 분석하는 것은 상당한 어려움이 있으나, 전반적으로 지역특성별(농촌지역, 중산간지역)로 주민들의 사업에 대한 이해 및 추진과정에서의 만족도 등은 다소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전반적으로 농촌지역 2개 권역 주민들이 중산간지역 2개 권역 주민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사업 추진 전반에 대해 부정적인 의견을 많이 표출하였다. 향후 원활한 사업추진을 위해서는 주민들의 사업에 대한 이해, 서로 돕고 협력하는 마을 공동체 의식의 복원, 바람직한 리더 육성, 실효성 있는 마을 규약 마련, 개방적·포용적 자세로의 전환과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 추진 및 운영방법의 현실화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research had selected current rural village development projects with the representative meaning of rural regional development projects in order to analyze results of projects and various policies of the government to enhance the quality of resident life and to develop rural regions. For the analysis, this research had selected 2 districts of the case study in Gyeongnam-province and Jeonnam-province, respectively. In the result of the satisfaction analysis on the projects, it was considerably difficult to analyze satisfaction degree by using a clear distinction of each region type when promoting overall project. However, this research confirmed that there were some differences about residents' understanding of the project and satisfaction degree in the process of projects according to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rural and mountain areas). In general, two districts' residents of rural areas expressed relatively more negative feedbacks in process of the project compared to two district residents of mountain areas. This research suggested that it is needed to have residents' understanding of the project, a restoration of village community spirit to help each other and to cooperate, fostering a desirable leader, establishing effective village regulations, transition into an open and inclusive attitude, promoting rural village development project, and realization of the operating method in order to have an amicable project process in the future.

목차
초록
 ABSTRACT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과 사례지역 개요
  3.1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
  3.2 사례연구대상지역 개요
 Ⅳ. 권역별 주민만족도 평가 결과
  4.1 주민만족도 평가와 향후 발전방향
  4.2 결과 및 고찰
 Ⅴ. 요약 및 결론
 ≫ Literature Cited
저자
  • 최영완(경상대학교 대학원) | Young-Wan Choi (Graduate School, Gyeongsang National Univ.)
  • 박정원(경상대학교 대학원) | Jeong-Won Park (Graduate School, Gyeongsang National Univ.)
  • 윤용철(경상대학교 지역환경기반공학과(농업생명과학연구원)) | Yong-Cheol Yoon (Dept. of Agricultural Eng.(Inst. of Agri. & Life. Sci.), Gyeongsang National Univ.)
  • 김영주(경상대학교 지역환경기반공학과(농업생명과학연구원)) | Young-Joo Kim (Dept. of Agricultural Eng.(Inst. of Agri. & Life. Sci.), Gyeongsang National Univ.)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