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예비유아교사의 행복 및 행복교육에 관한 인식 KCI 등재

The Recognition of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Happiness and Education for Happines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495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900원
코칭연구 (Journal of Korean Coaching Research)
한국코칭학회 (The Korean Association of Coaching)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의 행복과 행복교육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충청남도 K시와 경기도 Y시에 위치하고 있는 4년제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학생 가운데 행복 관련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학생 82명이다. 본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해 반구조화된 설문과 구조화된 설문을 함께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행복에 대한 인식 관련 연구결과는 첫째, 행복의 개념은 4가지 상위요인과 18개의 하위요인으로 나뉘어졌다. 둘째, 행복감은 즐거울 때, 의미있는 일을 할 때, 몰입할 때 순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행복감 결정요인은 의도적 노력, 환경적 조건, 유전적 요소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행복교육에 대한 인식 관련 연구결과는 첫째, 행복교육의 필요성과 유아교육에서의 도움 정도는 모두 높게 나타났다. 둘째, 행복교육의 내용은 감사하기, 웃기, 건강돌보기, 칭찬하기 등의 순으로 포함되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셋째, 행복교육의 방법에 대해서는 경험말하기, 동영상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영화보기, 게임, 그림, 토론 등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에서 행복교육을 담당하게 될 예비유아교사를 위해 유아교사 양성과정에서의 행복교육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of happiness and education for happiness. The subjects were 82 students who had an education related to happiness among students attending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at a 4-year university located in K-city of Chungcheongnam-do and Y-city of Gyeonggi-do. Semi-structured and structured questionnaires were used together.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ncept of happiness was divided into four factors and 18 sub–factors. Second, the feeling of happiness was recognized in the order of pleasure, meaningful work, and immersion. Third, the determinants of happiness were higher in intentional efforts,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genetic factors. Fourth, the necessity of education for happiness was relatively high. Fifth, the contents of education for happiness should be included in order of gratitude, laughter, health care, and praise. Sixth, the most appropriate method of education for happiness was in the experiences of speaking and watching videos, followed by movies, games, pictures, and discussions. This study provided basic data on education for happiness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도구
  3. 연구절차
  4. 자료분석
 Ⅲ. 연구결과
  1. 행복에 관한 인식
  2. 행복교육에 관한 인식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Abstract
저자
  • 오은순(공주대하교 유아교육과) | Oh Eunsoon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Kongju University.)
  • 이소현(경동대학교 유아교육과) | Lee So-Hyun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Kyungdong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