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Change of Design Perspective and Design Direction through the Case of Public Street Furniture Design
우리 주변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가로공공시설물은 사회 전반의 디자인에 대한 관심 증가와 디자인 역량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의미 있는 개선을 지속적으로 이루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불특정한 다수의 사용자를 대상으로 복잡한 이해관계자 및 다양한 사용자의 요구가 존재하는 공공디자인의 특성으로 인해 현재까지도 주변환경과 사용자를 고려하지 못한 공급자 중심의 가로공공시설물이 개발되고 있는 것도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실제 가로공공시설물 디자인 개발사례를 중심으로 디자인 관점 및 디자인 방향 변화의 필요성과 실질적 방안을 제시하여 가로공공시설물 디자인 개발을 위한 실질적인 활용이 가능하도록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형태, CMF, 사용자 중심의 디자인 관점을 재정의하여 설정하였으며 설치 장소에 따른 가로공공시설물 사례를 통해 주요 문제점을 발견하고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연구자의 실제 디자인 개발 사례와 함께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배경, 연구목표 및 방법 등의 과정을 거쳐 첫째, 형태적 관점에 있어서는 조형의 직접적인 묘사가 아닌 은유적이고 절제된 표현과 시설물 본연의 기능을 저해하는 과도한 상징을 지양하는것이 필요하며 둘째, 단순히 시각적인 요소로써의 색채와 재질의 적용이 아닌 설치환경과 시설물의 전체, 부분의 구조적인 특성을 복합적으로 고려한 색채 및 재질의 계획이 중요하고 마지막으로, 공공시설물을 직접적으로 사용하는 일반 시민만이 아닌 설치, 관리를 위한 다양한 사용자에 대한 고려가 필요함을 본 연구의 결과로 제안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일반적으로 반복해왔던 획일화된 디자인 관점의 접근에서 벗어나 형태, CMF, 사용자중심 디자인 관점의 복합적인 접근이 가로공공시설물 디자인에 가장 중요함을 전체적인 결론으로 제시하였다.
The public street furnitures that easily accessible have made continuous and meaningful improvement with increased interest in design throughout society and development of design capabilities. None the less, The reason why public facility design included the complicated stake-holders and diverse needs for the unspecified users, It is also a reality that supply-centered street furnitures is being developed that has not considered a variety of users. In this study, the actual public street furniture design development cases were used to propose practical ways for the development of public street furniture by presenting design perspectives and practical measures to change the design direction. To this end, the shape, CMF, and user-centered design perspectives were overridden and key problems were identified and the actual solution for such a problem were solved through the use of cases of public facilities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environment. Through this process of study background, research objectives and methods, First, in terms of shape , it is needed to seek not a direct description but refined expression of the form and it is necessary to avoid excessive symbolism that hinders the proper functioning of facilities. Second, it is important to plan for colors and materials that take into consideration the overall and part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installation environment and the facility, not the application of colors and materials as visual elements. Last, consideration should be given to a wide range of users, not just ordinary citizens, who use public facilities directly. Based on these findings, it was concluded that the most important approach was a composite approach from the perspective of the design that was typically repeated shape, CMF, and user-center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