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탈북자의 지속과 북한인권개선 방안 KCI 등재

Continuity of North Korean Defectors and Strategies for North Korean Human Righ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549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100원
한국과 국제사회 (Korea and Global Affairs)
한국정치사회연구소 (Korea Institute of Politics and Society)
초록

이 글은 지속적인 탈북자문제와 북한인권개선 방안에 관한 것이다. 탈북 자는 1990년대 후반부터 지속적으로 한국행 입국을 해왔다. 북한주민의 탈북배경은 1990년대 중반까지는 북한 자체 ‘고난의 행군시기’의 경제적 동기가 가장 컸다. 하지만 이러한 탈북동기는 2000년대를 거치면서 기획 탈북, 가족단위의 집단탈북, 자신의 미래를 위한 탈북 등의 형태 등으로 바뀌어왔다. 탈북자들은 탈북 후 한국입국 전까지 중국과 제3국에서 불법 체류자 신분으로 인권사각지대에서 엄청난 인권침해를 당하고 있다. 그동안 한국이 탈북자문제에 대해 정부와 민간부문에서 꾸준한 노력을 해 왔 음에도, 탈북자문제와 인권문제에 대해 정부와 민간부문에서 지속적인 공 동의 역할은 더 절실하다. 정부는 2016년 3월 국회에서 북한인권법 통과 로 이 법안에 따라 북한인권문제를 제도적 절차에 따라 탈북문제를 인간의 보편적 가치와 민족문제로 인식하고 국내외적으로도 공동협력해 나가는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This study speculated on a continuous issue of North Korean defectors and strategies to improve North Korean human rights. North Korean defectors have immigrated to South Korea continuously since the late 1990s. Their immigration was motivated by low financial status in the harsh marching period of North Korea until the mid-1990s. However, the defection motives changed like this: planned defection, family-based group defection and future-oriented defection. The North Korean defectors had had severe human rights abuses as illegal immigrants in the blind spots of human rights of China and the third nations until they were admitted to South Korea after defection. Although South Korea tried to help them consistently both in public and private ways, it was not satisfactory. Therefore, the government and private sectors should pay more consistent attention to the human rights issue. As the National Assembly passed the North Korean Human Rights Act on March 2016, the government should recognize the issue of North Korean defectors as that of universal value and a national issue, and cooperate each other nationally and internationally in diverse ways.

목차
논문요약
 Ⅰ. 서론
 Ⅱ. 탈북자의 한국행 지속 배경
  1. 북한주민의 탈북 이유
  2. 탈북자 한국행 입국 추이 분석
  3. 탈북자와 북한인권문제의 연관성
 Ⅲ. 북한인권의 실태와 개선
  1. 인권의 보편성과 북한인권
  2. 북한인권에 대한 인식
  3. 북한인권 대응사례
 Ⅳ. 한국의 대응
  1. 정부차원
  2. 민간차원
  3. 국제적 공동협력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김주삼(조선대학교) | Kim Joo-Sam (Chosun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