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Analysis aspect of Korean learners’ ‘response’ according to korean teachers’ ‘questioning’
한국어 교육은 교사의 발화에서부터 시작한다고 할 수 있을 만큼 교사 발화는 중요하다. 교사의 발화는 학습자에게 학습 내용을 입력시키고 표현을 이끌어 내는 역할을 한다. 이를 통해 수업의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는데 교사의 ‘질문하기’가 출발점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교사의 ‘질문하기’에 따른 학습자의 ‘응답 하기’의 양상을 분석하여 상호작용 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한국어 수업 대화를 전사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교사의 질문 유형을 형태, 목적에 따라 분류하고, 학습자의 대답을 형태, 적절성에 따라 사용 양상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질문하기 형태는 ‘네/아니오 의문문’, ‘무엇 의문문’ 등 순서였다. 목적은 열린 질문인 ‘참조형 질문’, ‘확인 점검 질문’, 교사가 대답을 알거나 추측 가능한 ‘나열형 질문’ 순서였다. 학습자의 응답 형태는 ‘개인 응답’이 가장 많았으나, 교사의 질문에 침묵하는 경우가 29%로 높았다. 그러나 응답 적절성은 ‘올바른 대답’이 81%로 학습자들이 학습 내용을 이해하고 있었다. 이렇게 한국어 교실에서 이루어지는 교사와 학습자간 대화 분석을 통해 상호작용의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전사 자료의 한계점과 교사와 학 습자의 상호작용 관련성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였다. 앞으로 교사 발화의 유형과 목적에 따른 학습자의 발화 유형, 효과 등에 대한 연구와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Teachers’ statement is so important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at someone can say that teachers’s statement initiates korean language education. teachers’ statement plays a role in providing korean language based contents for learners and inducing korean language learners’ statement. Through teachers’ statement,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 could be made. teachers’ ‘questioning’ statement is the starting point of this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eachers’ ‘questioning’ statement is important, this study analyzed conversation transcription data which is done in korean language learning class. teachers’ questioning types are classified by forms and purposes. Following learner’s responses are analyzed based on forms and suitabilities. it has been found that forms of teachers’ questioning was composed of an alterative question, what-question, wh-question (except what-question) from highest to lowest. it has been found that purpose of teachers’ questioning was composed of from highest to lowest. it has been found that forms of students’ responses was mainly composed of individual responses compared to the 29% of no responses to teachers’ statement. About 81% of students show appropriate answers to teachers’ statement. By analyzing dialogue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aspect of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was identified. It seems that follow-up studies dealing with students’ statement types and effects affected by teachers’ statement types and purposes will be nee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