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간암 환자에서 간동맥화학색전술 후 생긴 기관지담도 누공을 내시경으로 치료한 1예 KCI 등재 SCOPUS

Endoscopic Management of Bronchobiliary Fistula after Multiple Transcatheter Arterial Chemoembolizations for Hepatocellular Carcinom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595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대한췌담도학회지 (Korean Journal of Pancreas and Biliary Tract)
대한췌장담도학회(구 대한췌담도학회) (Korea PancreatoBiliary Association)
초록

기관지담관루는 간세포암 환자에서 여러 차례의 간동맥화학색전술 후 드물게 일어날 수 있는 합병증이다. 본 증례의 78세 남자 환자는 11차례의 간동맥화학색전술을 시행받고 5개월 후 발생한 기침과 담즙성 객담으로 내원하였다. MRCP상 기관지담관루는 오른쪽 간내담관(B7)과 기관지 사이에 위치하였다. ERCP를 시도하였으나 심한 간문부의 폐쇄로 기관지담관루가 위치한 우측 간내담관을 조영할 수 없었고, 이후 PTBD를 시행하여 매일 30-50 mL의 담즙이 배출되면서 객담 배출은 멈추었다. PTBD 배액관을 유지하고 2개월 동안 관찰하였으나 누공이 지속되어 두 번째 ERCP를 시행하여 기관지담관루 부위에 플라스틱 스텐트를 유치하였다. 1주 후 PTBD를 통하여 시행한 담도조영술에서 기관지담관루는 소실되었다. 환자는 스텐트 시술 이후에 더 이상 객담을 배출하지 않았고 2개월 이후에 시행한 ERCP에서도 기관지담관루가 관찰되지 않았다.

Bronchobiliary fistula (BBF) is a rare complication after transcatheter arterial chemoembolization (TACE) for hepatocellular carcinoma. We present a case of BBF that developed 5 months after 11 TACE procedures in a 78-year-old male patient with a 3-month history of a persistent cough and yellowish sputum. BBF was found between the bronchus and the right intrahepatic bile duct (B7) by magnetic resonance cholangiopancreatography. On the initial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ERCP), we failed to approach to the BBF due to severe hilar obstruction. Percutaneous transhepatic biliary drainage (PTBD) was performed, and 30-50 mL of bile was drained daily. But the BBF was not resolved until 2 months after PTBD. The patient was treated by placement of a plastic stent to the BBF site during the second ERCP. BBF was resolved 7 days after ERCP on the PTBD tubogram. The patient remained asymptomatic after the stent placement, and there was no recurrence at the 2-month follow-up ERCP.

목차
서 론
 증 례
 고 찰
 요 약
 REFERENCES
저자
  • 유진(건국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건국대학교병원 내과) | Jin Yu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Konkuk University Medical Center, Konkuk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이태윤(건국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건국대학교병원 내과) | Tae Yoon Lee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Konkuk University Medical Center, Konkuk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Corresponding author
  • 천영국(건국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건국대학교병원 내과) | Young Koog Cheo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Konkuk University Medical Center, Konkuk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심찬섭(건국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건국대학교병원 내과) | Chan Sup Shim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Konkuk University Medical Center, Konkuk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