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제품 조명에 기대하는 소구 감성 탐색: 냉장고 사례를 중심으로 KCI 등재

Exploring Users' Desired Emotion in Product Light Focusing on the Refrigerator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623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600원
감성과학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한국감성과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 Sensibility)
초록

빛이 제품의 디자인 조형 요소로 적극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추세에 반해, 제품 구매의 주체인 고객이 소구하는 제품의 빛 디자인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제품의 빛과 관련 연구는 특정 소구 감성을 달성하기 위한 최적 조명 조건을 도출하는 제한되어 새로운 디자인 요소로써 빛에 소구되는 감성적 효과에 대해 우선 분석이 진행 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제품의 빛에 대해 고객이 소구하는 감성의 종류가 무엇인지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는데, 특히 제품의 주요 디자인 요소로써 빛을 활용하고 있는 냉장고 제품을 대상으로 하였다. 소구 감성을 도출하기 위해 다지선다형 선택지와 단답형 주관식 문항을 혼합한 통합연구법을 적용하였다. 실험에서는 조명의 색과 배치가 다른 비슷한 형태의 냉장고 이미지 서너 개씩 그룹화하여 총 12종의 자극물 그룹을 구성하였다. 그리고 참여자(N = 50)로 하여금 각 그룹 별로 선호하는 냉장고 이미지를 선택하도록 하고 그 이유에 대해 단답형 주관식 설문을 작성하게 하였다. 그 결과 총 1,035개의 어휘가 수집되었으며, 위 어휘들은 유의어 관계에 의해 총 29종의 어휘 그룹으로 정리되었다. 어휘 그룹은 다시 네 가지의 감성 카테고리 – 추상적 인상, 조명의 객관적 특성, 공간과 내용물의 인지, 시각적 편안함 – 으로 최종 분류된 후 네 가지 카테고리 간의 연관성을 기반으로 냉장고 조명에 소구하는 감성과 조명의 객관적 특성 간의 관계 모델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탐색적 방법을 이용해서 새로운 디자인 요소가 가져다줄 수 있는 감성적 가치를 발굴하고 이를 평가 척도로 활용하는 과정을 제시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Despite the substantial changes made in the product design field to adopt light as an essential design element, there has been little effort to define how customers respond emotionally to the light design of produc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emotional effect of light as a new design element. However, previous research focuses solely on deriving optimal lighting conditions to achieve particular emotional effects. Therefore, this paper investigates the customers' desired emotional effects of product's light design. We studied refrigerators that utilize light as the main design element of the product. We applied mixed methods by combining close-ended questions and open-ended question to efficiently derive the desired emotion. Participants were asked to choose the most favorable refrigerator image in each of the twelve image groups and indicate why they choose that image with the short-answer survey form. Approximately one thousand terms were collected, and those terms were classified into 29 groups using thesaurus relationships. The term groups were again classified into the four big emotion categories and labelled as “abstract quality,” “light property,” “space perception,” and “visual comfort.” Also, a model of the relationship between desired light style and light properties was proposed, since we observed the light properties related to three other categories. This study used mixed methods to identify the emotional value of a new design element. We suggest that the emotional categories derived and the proposed relationship model could be used to evaluate the product's light design.

목차
Abstract
 요 약
 1. 서론
 2. 소구 조명 감성 도출을 위한탐색적 연구 방법
 3. 냉장고 조명 디자인에 대한소구 감성 탐색
  3.1. 실험의 목표
  3.2. 설문 방법
  3.3. 자극물 구성
  3.4. 실험 참여자
  3.5. 실험 과정
 4. 응답 분석 방법 및 결과
  4.1. 응답 자료 가공 방법
  4.2. 냉장고 조명의 소구 감성
 5. 소구 감성과 조명 특성간의관계 모델 제안
 6.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저자
  • 정경아(KAIST 산업디자인학과) | Kyeong Ah Jeong
  • 석현정(Department of Industrial Design, KAIST) | Hyeon-Jeong Suk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