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이산화탄소 분리를 위한 PEBA공중합체 기반 분리막 KCI 등재

Poly(ether block amide) (PEBA) Based Membranes for Carbon Dioxide Separa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698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멤브레인 (Membrane Journal)
한국막학회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초록

Poly(ether block amide) (PEBA)는 이산화탄소 분리에 매우 적합한 상용 블록 공중합체 중 하나이다. 기체분리막의 경우 높은 투과도 뿐 아니라 강한 기계적 강도 또한 필요로 한다. PEBA공중합체의 결정성 폴리아마이드(polyamide) 블록은 기계적 강도를 제공하며 동시에 rubbery한 폴리에테르(polyether) 부분은 이산화탄소와의 친화도를 부여하여 이산화탄소 촉진 수송에 기여한다. PEBA공중합체에서 결정성 상과 rubber한 상의 조성은 기체분리막에 적합하게 조절될 수 있다. PEBA 공중합체를 기반으로 한 분리막은 좋은 투과도를 갖지만 추가적으로 분자체 효과를 이용하여 큰 기체 투과도 손실 없이 분리막의 선택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혼합 매질 분리막은 혼합막의 한 종류로서 고분자 매트릭스와 유기 첨가제로 이루어져 있다. 하지만 고분자 매트릭스와 유기 첨가제간의 양립성(compatibility)에 따른 문제점 또한 존재한다. 따라서 본 총설에서는 PEBA 공중합체를 기반으로 한 혼합막의 장점과 한계에 대해 다루고자 한다.

Poly(ether block amide) (PEBA) is one of the commercially important class of block copolymer very much suitable specifically for CO2 separation. Gas separation membrane need to have good mechanical strength as well as high gas permeability. The crystalline polyamide (PA) block provides the mechanical strength while the rubbery polyether (PE) group being CO2-philic facilitate CO2 permeation though the membrane. Composition of thermoplastic and rubbery phase in the polymer are changed to fit into suitable gas separation application. Although PEBA has good permeability, the selectivity of the membrane can be enhanced by incorporating molecular sieve without affection much the gas permeability. Mixed matrix membrane (MMM), a class of composite membrane combine the advantage of polymer matrix with the inorganic fillers. However, there are some disadvantages based on the compatibility of the inorganic fillers and polymeric phase. This review covers both the advantage and limitations of PEBA block copolymer based composite membrane.

목차
요 약
 Abstract
 1. Introduction
 2. PEBA mixed membrane
  2.1. Inorganic filler filled composite membrane
  2.2. Metal organic framework (MOF) compositemembrane
  2.3. Zeolite composite membrane
  2.4. Polymer blend membrane
  2.5. Ternary composite membrane
 3. Conclusions
 Reference
저자
  • 이재훈(연세대학교 화공생명공학과) | Jae Hun Lee (Department of Chemical and Biomolecular Engineering, Yonsei University)
  • 라즈쿠마 파텔(Energy and Environmental Science and Engineering, Integrated Science and Engineering Division (ISED), Underwood International College, Yonsei University) | Rajkumar Patel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