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Sensitivity analysis of flood vulnerability index of levee according to climate change KCI 등재

기후변화에 따른 제방의 홍수취약성지수 민감도 분석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7339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한국수자원학회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하천 제방에 대한 홍수취약성을 평가하는 새로운 기법을 제시하고 기후변화에 따라 변화하는 수위에 대하여 제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2차원 지하수침투 모형인 SEEP/W를 이용하여 제방의 침투거동을 분석하여 침투안전성을 평가하였다. 침투거동뿐만 아니라 기후변화에 따른 하천환경여건을 고려하는 제방의 취약성 분석 기술이 필요함으로써 본 연구에서는 추가적으로 제방의 취약성 분석에 필요한 인자를 도출하여 제방의 홍수취약성지수(levee flood vulnerability index; LFVI)에 의한 취약성 평가기법을 새로이 개발 하였다. 대상지역을 한강 본류 서울 구간으로 선정하여 하도별 제방의 크기를 조사하였고 조사한 제방을 상류부, 중류부, 하류부로 구분하여 3개의 대표 제방을 선정하였다. 이들 대표 제방지점에서 현재의 계획홍수위와 기후변화 시나리오 RCP8.5를 고려한 계획홍수위를 적용하여 제방의 활동 안전율과 제방 홍수취약성지수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제방홍수취약성지수를 구성하는 각각 인자들에 대하여 기후변화에 따른 변화 정도를 파악하였다. 이들 인자들을 종합적으로 활용한 제방홍수취약성지수 값을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기후변화에 따른 제방의 취약성을 추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In this study, a new methodology was proposed to evaluate the flood vulnerability of river levee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on the levee where the water level changes according to climate change. The stability of levee against seepage was evaluated using SEEP/W model which is two-dimensional groundwater infiltration model. In addition to the infiltration behavior,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vulnerability of the embankment considering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of the river due to climate change. In this study, the levee flood vulnerability index (LFVI) was newly developed by deriving the factors necessary for the analysis of the levee vulnerability. The size of river levee was investigated by selecting the target area. The selected levees were classified into upstream part, midstream part and downstream part at the nearside of Seoul in the Han river, and the safety factor of the levee was analyzed by applying the design flood level of the levee. The safety ratio of the levee was analyzed by applying the design flood level considering the current flood level and the scenario of climate change RCP8.5. The degree of change resulting from climate change was identified for each factor that forms the levee flood vulnerability index. By using the levee flood vulnerability index value utilizing these factors comprehensively, it was finally possible to estimate the vulnerability of levee due to climate change.

목차
Abstract
 요 지
 1. 서 론
 2. 홍수와 제방의 취약성 평가를 위한 기법
  2.1 홍수취약성지수(Flood Vulnerability Index, FVI)
  2.2 제방홍수취약성지수(Levee Flood VulnerabilityIndex, LFVI)의 개발
 3. 기후변화에 따른 제방의 취약성 분석
  3.1 대상유역과 대표 제방의 선정
  3.2 기후변화에 따른 홍수량 및 홍수위 산정
  3.3 제방의 활동 안전율 분석
  3.4 기후변화에 따른 제방홍수취약성지수 분석
   3.4.1 제방홍수취약성지수의 구성 인자 변화 정도
   3.4.2 제방홍수취약성지수의 민감도 분석
 4. 결 론
 감사의 글
 References
저자
  • Lee Hoo Sang(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Kumoh National Institute of Technology, 금오공과대학교 토목공학과) | 이후상
  • Lee Jae Joon(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Kumoh National Institute of Technology, 금오공과대학교 토목공학과) | 이재준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