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松溪 申季誠 가계의 밀양 정착과 후대의 추숭과정에 대한 일고찰 KCI 등재

A Study on the Settlement of Miryang in the Songgye Shin Gye-seong Family House And The process of worshiping Song-gye in later generations

송계 신계성 가계의 밀양 정착과 후대의 추숭과정에 대한 일고찰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7439
  • DOIhttps://doi.org/10.14381/NMH.2019.61.03.30.35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남명학연구 (The Nammyonghak Study)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The Nammyong Studies Institute)
초록

松溪先生으로 알려진 申季誠(1499-1562)은 흔히 南冥 曺植의 ‘畏友’ 로 언급되고는 한다. 송계는 平山을 본관으로 하는 고려 건국의 충신인 壯節公 申崇謙의 후예로 연산군 5년 밀양 후사포리에서 출생해 명종 17년에 향년 64세의 일기로 삶을 마친 인물이다. 하지만 송계 신계성의 행적은 문학이나 사학, 혹은 철학계에서 그리 주목을 받지 못한 분이다. 다만 사학계에서는 조선전기 영남 지역의 사림 학맥을 고찰하면서, 혹은 남명 조식의 학술적 면모를 언급하는 과정에 잠시 언급되고는 할 뿐이다. 하지만 송계가 영남 지역 사림의 한 부분을 대표하며 남명과 함께 언급된다는 점에서 학계가 간과할 수 없는 인물임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사회·문화적 관점에서 밀양이라는 지역은 이미 삼한시대에 김제의 벽골제, 제천의 의림지와 함께 수산제와 같은 수리 시설을 갖춘 농경 지역이었다. 또한 낙동강을 이용한 漕運倉의 운영은 물론 嶺南大路의 거점에 놓인 嶺南樓라는 조선3대 누각에 꼽히는 문화적 존재가 증명하듯 주변 지역과의 관계망을 갖춘 경제의 중심으로서 근대 전환의 시점 까지 활발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와 같은 지역적 기반을 바탕으로 春亭 卞季良(1369-1430)과 佔畢齋 金宗直(1431-1492)의 뒤를 이어 사림의 중망을 얻은 송계와 같은 인물의 등장이 일견 자연스럽게 여겨지기도 한다. 그럼에도 송계 신계성의 면모와 학적 형상은 춘정과 점필재에 비해 그리 쉽게 떠오르지 않는다. 그러나 남명을 비롯해 명종 때 領相을 지낸 東皐 李浚慶, 錦溪 黃俊良 등의 언급을 볼 때 영남 사림의 한 부분인 송계의 존재를 무시할 수는 없을 듯 하다. 송계가 남명, 黃江 李希顔과 세상에서 嶺中三高로 일컬어지기도 하였다는 점에서 그러하다. 본고는 송계 가문의 밀양 정착 과정으로부터 후대인들의 송계 추숭 과정을 살펴 그의 영남지역에서의 위상을 엿보고자 한다.

Songgye Shin Gye-seong is often referred to as the 'A respectable friend(畏友)' of the Nammyung Jo-sig. Songgye is a descendant of Chungbonggol, a loyalist of the Goryeo Dynasty, who is based in Pyeongsan, and was born in Sapori Milyang Province, and finished his life as a 64-year-old diary. However, Song 's works have not received much attention in the field of literature, history, or philosophy. However, in the field of history, it is only mentioned for a while in the process of reviewing the academic field of the Young-nam area of Joseon and mentioning the academic aspect of the Nammyung Jo-sig. In this regard, it can be inferred that the position of Song-gye is not easily overlooked in academia because it is mentioned together with Nammyung, representing a part of Young-nam area. From the geographical viewpoint of society and culture, the area of Miryang was already an agricultural area with irrigation facilities such as susanje(守山堤) along with Kimje's byeoggolje(碧骨堤) and Jecheon's uilimji(義林池) in the age of Samhan. In addition to the operation of the Nakdong river, Youngnam Roo, located at the base of Youngnam Highway(嶺南大 路), proved to be one of the three major pavilions of the Joseon Dynasty. Based on such a regional basis, the appearance of a character such as Songgye, who gains the grandeur of Sarim(士林) following Byeon Gye-lyang and Kim Jong-jig, seems natural at first glance. Nevertheless, the facial features and academic aspects of Songgye do not come to mind as easily as those of Chunjung and Jumphiljae. However, when referring to Dong-go Lee Jun-kyung, and Geum-gye Hwang Jun-lyang, who have been in the prime minister during the Myeongjong period, including Nammyong, I do not think so. It is in the point that Songgye was referred to Nam Myeong, Huang-kang Lee Hee-an, as Yongjungsanggo(嶺中三高). This paper examines the process of the Song-gye of the later generations from the process of settlement of the Song-gye family in Miryang and seeks to elucidate his status in the Yeongnam area.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송계 신계성 가계의 밀양 정착과 그 과정
  1. 평산 신씨 밀양 입향의 첫 모습
  2. 송계 가문의 밀양 장착과 『密陽鄕案』
 Ⅲ. 송계 신계성 추숭의 대략과 그 경과
 Ⅳ. 나가며
저자
  • 申相弼(부산대학교 점필재연구소) | 신상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