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復菴 曺垣淳(1850-1903)이 南冥 曺植(1501-1572)의 핵심 사상을 담지하고 있는 「神明舍圖」와 「神明舍銘」에 대해 어떤 관점에서 해석했으며, 그것이 가지는 의의가 무엇인지를 고찰한 것이다. 조원순은 남명의 10세손으로서 남명학의 계승과 선양을 평생의 사명 으로 삼은 학자이다. 그는 이 사명을 위해 「神明舍圖銘」에 대해 註解하 고 그림을 개정했으며, 1897년에는『南冥先生全集』을 간행했다. 조원순은 「神明舍圖銘解」ㆍ「論神明舍圖」ㆍ「辨神明舍圖」ㆍ「客辨」 등 네 편의 저술을 지어 「신명사도명」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밝혔다. 그의 해석에서 나타나는 특징은 「신명사도」의 구조를 上面의 持敬과 下面의 立誠으로 파악한 점이다. 「신명사도」에 대한 조원순의 설명을 토대로 남명의 학문에서 敬ㆍ義는 방법에 해당하며, 誠은 도달해야 할 목표라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조원순은 남명의 「신명사도명」을 周敦頤의 「太極圖說」과 동일한 내 용으로 해석했으며, 이전의 「신명사도」를 고쳐 새롭게 개정하는 작업을 진행했다. 이것을 통해 남명의 학문이 老莊과 관련된 것이 아니라, 성리학에 근본한 순정한 학문이었다는 점을 밝히려 했다.
松溪先生으로 알려진 申季誠(1499-1562)은 흔히 南冥 曺植의 ‘畏友’ 로 언급되고는 한다. 송계는 平山을 본관으로 하는 고려 건국의 충신인 壯節公 申崇謙의 후예로 연산군 5년 밀양 후사포리에서 출생해 명종 17년에 향년 64세의 일기로 삶을 마친 인물이다. 하지만 송계 신계성의 행적은 문학이나 사학, 혹은 철학계에서 그리 주목을 받지 못한 분이다. 다만 사학계에서는 조선전기 영남 지역의 사림 학맥을 고찰하면서, 혹은 남명 조식의 학술적 면모를 언급하는 과정에 잠시 언급되고는 할 뿐이다. 하지만 송계가 영남 지역 사림의 한 부분을 대표하며 남명과 함께 언급된다는 점에서 학계가 간과할 수 없는 인물임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사회·문화적 관점에서 밀양이라는 지역은 이미 삼한시대에 김제의 벽골제, 제천의 의림지와 함께 수산제와 같은 수리 시설을 갖춘 농경 지역이었다. 또한 낙동강을 이용한 漕運倉의 운영은 물론 嶺南大路의 거점에 놓인 嶺南樓라는 조선3대 누각에 꼽히는 문화적 존재가 증명하듯 주변 지역과의 관계망을 갖춘 경제의 중심으로서 근대 전환의 시점 까지 활발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와 같은 지역적 기반을 바탕으로 春亭 卞季良(1369-1430)과 佔畢齋 金宗直(1431-1492)의 뒤를 이어 사림의 중망을 얻은 송계와 같은 인물의 등장이 일견 자연스럽게 여겨지기도 한다. 그럼에도 송계 신계성의 면모와 학적 형상은 춘정과 점필재에 비해 그리 쉽게 떠오르지 않는다. 그러나 남명을 비롯해 명종 때 領相을 지낸 東皐 李浚慶, 錦溪 黃俊良 등의 언급을 볼 때 영남 사림의 한 부분인 송계의 존재를 무시할 수는 없을 듯 하다. 송계가 남명, 黃江 李希顔과 세상에서 嶺中三高로 일컬어지기도 하였다는 점에서 그러하다. 본고는 송계 가문의 밀양 정착 과정으로부터 후대인들의 송계 추숭 과정을 살펴 그의 영남지역에서의 위상을 엿보고자 한다.
삼가지역 사족들이 전쟁 발발을 알게 된 것은 4월 14일 무렵으로 생각된다. 이후 전황은 학맥과 혼맥을 통해 속속 삼가 사족들에게 전해 졌을 것이다. 4월 27일 쯤 삼가현의 兎洞은 왜군 40여 기의 기습 침략 을 받았다. 삼가 읍치에 주둔하던 우병사 조대곤은 가회의 晦山書院으 로 물러가 숨었으며, 곧 이어 삼가현감 張翎도 황계로 도피했다. 결국 삼가현의 읍치와 주변 지역은 무인지경에 놓였다. 다만 회산서원 이웃의 구평리는 비교적 안정된 상태였던 것으로 짐작된다. 초유사 金誠一 의 부임으로 말미암아 삼가지역 사족들의 전쟁 대응에도 변화가 일어 났다. 삼가지역의 의병 창의에는 초유사 김성일과 소모관 李魯 등의 외부적 요인만이 아니라 구평리 尹彦孝 가문의 주체적 역량이 결정적인 한 몫을 했다. 윤언효는 삼가지역의 의병 창의에서 주체적 역량으로 家僮을 징발하고 家財를 기울여 군비로 삼았으며, 이를 朴思謙·朴思齊· 盧錞·曺繼明에게 통고하였다. 다만 노쇠한 윤언효는 구평리의 윤탁, 백동리의 박사겸·박사제·박엽·정진철, 판현동의 조계명 등이 의병 소모·군량과 군수 마련, 대외 접촉 등과 같은 실무를 주관하도록 했다고 본다. 경상우도 사족들의 공론은 임진왜란을 전후해서 두 단계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임진왜란 이전 단계에서 제기한 경상우도 사족들의 공론은 축성을 비롯한 수령들의 가혹한 정사와 탐학을 응징하자는 것이었다. 임진왜란 초기 단계에서 사족들이 제기한 공론은 퇴주만 거듭하여 경상도를 적의 소굴로 만든 김수를 논죄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이는 특정 고을이나 가문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경상우도 차원의 공론이라고 봐 야 할 것이다. 특히 진사 尹彦禮는 의병장 곽재우를 모함하는 감사 김수 의 두 번에 걸친 격문을 반론하는 통유문을 주도하는 등 경상우도 사족 들의 공론에 적지 않은 영향을 끼쳤다. 윤탁의 삼가 의병은 곽재우의 의령 의병과 느슨한 연합 형태의 동맹을 이루었다. 그리하여 두 의병은 하나의 통솔체계 아래 적절하게 군무를 분장한 조직을 갖추었지만 때로 독자적인 의병 활동을 펼쳤다. 물론 윤탁은 곽재우 의병군단의 영장으로서 의병장 곽재우의 통솔 아래 경상 좌도의 현풍·창녕·영산의 수복 작전에 참여하기도 했다. 삼가 의병장 윤탁은 1592년 진주성 전투 때 다른 남명학파 의병장들과 함께 진주성을 外援하여 대첩에 일조하였 다. 1593년 진주성 전투 때 곽재우의 의령 의병과 달리 삼가 의병장 윤탁은 승패가 예견되던 고립무원의 진주성에 입성하였다가 성이 함락 되면서 순절하였다.
이 글은 月川 趙穆(1524-1606)의 『月川集』 필사본과 간행본의 내 용을 비교하여 개정의 특징과 의의를 고찰한 것이다. 『月川集』은 조목의 아들 趙錫朋이 간행을 주도하였으며, 그 과정에서 시 950여 수를 비롯해 필사본에 수록된 다수의 작품이 산삭되었다. 산삭의 양상을 살펴보면 특징적으로 류성룡과 관련된 민감한 작품들이 산삭되었는데, 이는 ‘主和誤國’의 내용을 지우려는 김응조의 요청에 의한 것이었으며, 그 영향력은 문집의 서문을 수정하고 言行記와 더불어 혐의가 될 만한 다수의 작품이 산삭되는 결과로 이어졌다. 만사ㆍ제문의 경우, 조목의 도산서원 종향을 추진했던 문인의 작품은 수록하고, 그렇지 않은 인물의 작품은 산삭되었다. 시에서는 남명학 파의 권역에 있는 인물을 숨기거나 정인홍을 의도적으로 폄하한 흔적이 보였고, 그 중 儒家에 유익하다고 판단된 시는 제목을 변경해서 간행 본에 수록하였다. 이상의 특징을 종합하여 『월천집』 개정이 외부의 영향과 간섭을 받으면서 진행되었고, 상대적으로 조목 문인들은 이에 대응할 자체적인 기반이 약한 상황이었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면우의 영물시 「戱次人水陸菜品三十八絶」에는 서민들의 생활상, 物 象에 대한 逼眞한 묘사, 格物을 통한 性理의 이해가 나타나 있다. 「희차 인수륙채품삼십팔절」시에는 국난의 시대를 살아가는 민초들의 삶이 애잔하게 묘사되어 있으며, 우리의 산과 들, 바다에서 자라는 식재료로 사용되는 식물들이 거짓 없는 진솔함으로 묘사되어 있다. 그리고 식용 식물을 통해서도 성리의 본질을 깨닫고자 노력한 성리학자의 모습을 볼 수 있으며, 폭넓은 본초학의 상식으로 국토에 자생하는 식물에 대한 애정이 깊었던 면우의 모습을 볼 수 있다. 그가 「희차인수륙채품삼십팔절」에서 보여준 작시의 자세는 문학작품이 사회의 문화나 분위기를 알게 해주는 治世의 자료로서의 의미가 있으며, 詩作의 대상에 대한 깊은 이해가 바탕이 되어야 한다는 그의 문학관이 반영된 결과이다. 그리고 만물을 대하여 그 속에서 명덕의 이치를 깨달아 성찰하고 日新하는 모습을 보이고자 하는 성리학자로의 모습이 시에 그대로 나타났다. 2,000여 수의 한시가 말해주듯 그는 시작을 꺼리지 않았으며, 물상에 대한 소회를 기발함으로 풀어내기도 하였다. 이는 그가 기발하고 참신 한 문장을 만들기 위해 고민했다기보다 자연스럽게 발현된 詩心으로 내면에 온축된 物産에 대한 지식과 감화가 가감없이 형상화된 것이다. 시작에 대한 부정적 입장에서 탈피하여 다양한 표현으로 즐기는 모습을 보였으니, 문학에 대한 그의 식견과 역량을 유추할 수 있는 작품이다.
1943년에 출간된 하겸진의 『동유학안』은 일제강점기 유일의 ‘學案’ 식 저술이다. 이 책은 한국의 유학자 152인을 16개의 학안으로 분류하여 상중하 3책 23편에 싣고 있다. 이 책에서 우리가 주목하는 것은 크게 세 부분으로, 형식적 체계와 구성, 학안과 학파의 분류 및 배치, 그리고 수록 인물과 그 평가가 그것이다. 본 연구는 하겸진의 『동유학안』이 보여주고 있는 이 세 가지 측면에 주목해 그 내용을 분석하고 그 특징과 의의를 확인하고 있다. 무엇보다 성리학적 전통을 계승하려는 하겸진의 지향은 형식적 체계와 구성에서부터 분명하게 확인되며, 그것은 학안과 학파의 분류 및 배치, 수록 인물과 그 평가에서도 일관되게 나타난다. 이와 함께 『동유학안』 전체를 관통하고 있는 하나의 특징을 찾는다면, 그것은 다름 아닌 ‘도통론적 시각’이 중심에 자리 잡고 있다는 점이다. 『동유학안』은 철저한 도통론적 토대 위에서 서술된 성리학사였고, 체제나 형식적 측 면에서도 ‘도통론적 시각’은 철저하게 관철하고 있다. 또 도통론은 단순히 『동유학안』이 견지하고 있는 시각에 그치지 않고, 조선성리학을 바라보는 시선 자체이기도 했다. 『동유학안』에서 그려지고 있는 조선성 리학의 전개사는 곧 도통의 전개사였다. 『동유학안』은 그 자체로 이미 조선성리학의 전개사를 도통론이라는 하나의 시선 속에 일관되게 담아 내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동유학안』이 일관되게 견지한 도통론적 시각은 동시에 『동유학안』의 피할 수 없는 한계이기도 했다. 그 한계는 도통론 자체가 절대적인 진리를 전제하고 있다는 점에 기인한다. 그런 까닭에 근대적인 학문 방법론과는 가까워질 수 없었고, 당연히 학문적 객관성은 상처를 받을 수밖에 없었다. 이와 같은 약점에도 불구하고 『동유학안』은 한주학파의 끝자락을 장식한 하겸진의 시선을 통해 조선성리학의 전개 과정을 그려볼 수 있는 귀중한 계기를 제공해 주고 있다.
본고는 기해통신사 사행록인 『扶桑紀行』의 내용상의 특징 및 저자 鄭后僑의 일본 인식에 대해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정후교는 숙종대 김창흡, 신정하를 비롯한 노론 계열 문인들 사이에서 뛰어난 시인으로 인정받은 인물이다. 그는 1719년 부사 황선의 자제 군관으로 사행에 참여하였으며 제술관 및 서기들과 함께 일본인들과의 시문창화를 담당하였다. 그에게 일본 사행은 詩材를 제공해주는 일종의 유람이었으며, 이에 따라 그의 사행록 역시 견문이나 정보 전달보다 는 유람의 체험을 곡진하게 전달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구체적인 내용상의 특징으로는 감각적인 풍광 묘사와 독특한 유람 체험의 전달을 위주로 하고 있다는 점, 그리고 일본 문사들과의 필담 교류를 일기와 시문을 통해 구체적으로 재현하고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특히 고래사냥이나 시문창화의 현장 등 다른 사행록에서 발견되지 않는 다채로운 경험을 실감나게 전하고 있다는 점이 돋보인다. 한편 『부상기행』에 나타나는 저자의 일본 인식은 다음 세 가지 측면에서 분석이 가능하다. 첫째는 일본의 법도와 국력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이 나타난다는 점이다. 두 번째로 감성적인 공감을 통해 일본인의 성품과 습속에 대해 재평가하고 있음을 지적할 수 있다. 세 번째는 화이론적 사고의 변용을 통해 일본 문명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보이고 있다는 점이다. 이는 조선 지식인이 기존 관념의 전제를 유지한 상태에서 그것의 변용, 혹은 우회적 방식을 통해 새로운 인식을 창출해가는 과정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특히 흥미로운 사례이다. 이상 『부상기행』에 대한 검토를 통해 사행록 연구에 있어 몇 가지 중요한 분석의 지점들을 발견할 수 있었다. 동시기 및 다른 시기의 일본 관련 기록과의 비교를 통해 본고의 논의를 더욱 확장해 나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