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행물

남명학연구 KCI 등재 The Nammyonghak Study

권호리스트/논문검색
이 간행물 논문 검색

권호

제47권 (2015년 8월) 6

1.
2015.08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동양의 문학계에서는 옛날부터 “시는 그 사람과 같다”는 말이 통용되 었다. 작가의 사상, 감정은 물론이고 그 사람의 인격까지 그의 작품에 반영되는 것으로 인식한 것이다. 진암 이병헌(1870-1940)은 유교 개혁론이나 공자교 운동으로 널 리 알려진 인물이다. 그러나 그는 600여 수가 넘는 시를 남긴 시인기이 도 하다. 그의 사상과 학문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지만 그의 문학에 대해서는 아직 전혀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병헌의 종합 적인 성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시 작품에 대한 연구를 빠뜨려서는 안 된다. 이 글은 그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그의 시집에 실린 작품의 연구를 통해 시인으로서의 면모를 드러내었다. 이를 위해 그의 시에 나타난 주제 의식의 분석을 통해 작품 전반적인 성격을 규명하였으며, 시의 풍격을 고찰함으로써 시인으로서의 문예적 성취를 확인하였다. 주제 의식은 크게 세 가지로 나타난다. 첫째는 자신이 세상에 받아들 여지지 못하여 느끼는 불운한 감정인 身世之感, 둘째는 일본에 나라를 빼앗긴 시기를 살아가면서 견지한 우국 정신, 셋째는 유학자로서 유교 정신을 작품에 구현하는 것이다. 풍격에 드러난 문예미의 특질은 크게 두 가지로 나타난다. 첫째는 암울한 시기를 살아가면서 느낀 幽鬱과 慷慨이고, 둘째는 철 저한 수양을 거친 유학자로서 가지고 있는 平淡과 典雅이다. 유울과 강개는 시대적 상황에 따른 후천적인 풍격이고, 평담과 전아는 서정시 에서 주로 나타나는데 이는 선천적인 성격을 반영한 것으로 파악된다.
2.
2015.08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논문은 俛宇 郭鍾錫의 「入德門賦」가 어떤 시대상황과 배경 속에 서 창작되었으며 글의 전개방식과 주제의식은 무엇일까라는 문제의식 으로 접근한 글이다. 필자는 이 글에서 우선 시대상황과 창작배경을 살피고, 이 글의 구성방식을 굴원의 「어부사」와 비교해 분석하였으며, 이 글의 내용전개에 나타난 작가의식을 몇 가지 특징으로 포착하여 드러내었다. 그리고 경상우도 지역에 면면이 전승된 남명의 도학자상 이 이 글을 지은 작가에게 어떻게 투영되어 나타나고 있는지를 함께 살폈다. 이 글의 요지를 간추려 제시하면 아래와 같다. 19세기 후반의 역사적 전환기에 경상우도의 대표적인 학자 면우는 21세 때 晦窩라 자호하고서 「晦窩三圖」를 그렸는데, 요지는 주자학을 배우고자 하는 의지를 드러낸 것이다. 면우는 10여 년 동안 타향살이를 하다가 28세 때 고향으로 돌아와 새로이 구도적 의지를 다짐하여 「沙 上賦」를 지었고, 그 이듬해 정월 초 남명의 도학세계로 들어가는 입구 에 있는 입덕문에 이르러 「입덕문부」를 지었다. 이 글은 면우가 구도적 의지를 새롭게 다짐하던 시기에 남명의 도학을 새롭게 인식하고 表章 하여 남명정신을 이어가고자 지은 것이다. 「입덕문부」의 구성방식은 외형적으로 屈原의 「漁父辭」와 닮아 있다. 그러나 내용전개의 측면에서 보면 문답의 주체가 바뀌고, 주제의식이 전혀 다르다. 「어부사」는 혼탁한 시속에 휩쓸려 사는 어부와 홀로 청렴 하고 홀로 깨어 있는 굴원의 가치관이 대립적 구조로 설정되어 있다. 반면 「입덕문부」는 어부가 작가에게 일방적으로 남명의 도학, 남명학 의 전승, 구도의 방법 등을 상세하게 일러주는 전개방식으로 되어 있다. 즉 「입덕문부」는 序에 작가의 憂道意識을 말하고, 결어에 작가의 求道 意志를 드러내고, 본문에 어부가 남명학 및 구도방법에 대해 일러주는 삼단구조로 되어 있다. 어부는 남명의 도학을 누구보다 잘 아는 은자의 모습, 난세에 학자의 임무가 무엇인지를 일깨워주는 인물로 그려져 있 다. 이를 보면 「입덕문부」의 주제의식이 남명의 도학을 표장하고 그 도를 이어가고자 하는 의지를 다짐한 데에 있음을 알 수 있다. 「입덕문부」에 나타난 作家意識은 크게 네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序에서 憂道意識을 말하고 本文에서 남명의 도학을 말하고 結語에서 求道意志를 천명하고 있는 점이다. 이는 도가 무너진 시대에 남명을 본받아 구도의지를 새롭게 다짐한 작가의식을 투영한 것이다. 둘째, 본문에 남명의 도학자상을 부각시켜 우리나라 도학을 연 인물로 본 점이다. 특히 퇴계와 나이도 같고 道도 같고 德도 같고 淵源도 같다고 한 점은 남명의 도학을 퇴계의 도학처럼 正脈으로 본 것이다. 셋째, 남명의 도학이 후세에 면면히 전승되어 내려온 점을 매우 구체적으로 부각시킨 점이다. 이는 남명의 도학이 남명학파가 와해된 뒤에도 경상 우도 지역에 그대로 전승되어 내려온 점을 드러낸 것이다. 특히 남명을 제향한 덕천서원을 도산서원·옥산서원과 함께 거론함으로써 영남 도학 이 晦齋·退溪·南冥 세 선생에게 발원한 점을 부각시킨 것, 남명의 도학 세계로 들어가는 입덕문 주변의 낙락장송을 남명정신을 상징하는 것으 로 핍진하게 그려낸 것 등이 돋보인다. 넷째,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1870년 덕천서원이 훼철되어 남명의 도학이 의지할 데가 없게 된 시대 의 위기의식을 표출하고 있는 점이다. 이 「입덕문부」가 1874년 정월 초에 창작된 점으로 보면, 덕천서원이 훼철된 직후 참담한 정신적 공황 상태 속에 다시 구도의 의지를 곧추세우지 않을 수 없다는 작가의 절박 한 심경이 투영되어 있다. 이 「입덕문부」는 19세기 후반 경상우도 지역의 대표적인 유학자가 남명학에 대해 어떻게 재인식하고 있는지를 잘 보여주는 글이며, 도가 무너지는 시대에 남명정신을 고취하여 새롭게 구도의지를 다짐하기 위해 지어진 글이다. 따라서 조선 후기 사상사의 흐름 속에서 남명학에 대한 인식이 이 지역에 면면히 전승되어 내려오고 있음을 구체적으로 보여주며, 조선 후기 경상우도 남인계 학자들은 남명과 퇴계의 도학을 동등하게 인식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고 하겠다.
3.
2015.08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倻溪 宋希奎(1494-1558)는 佔畢齋 金宗直, 寒暄堂 金宏弼, 新堂 鄭鵬, 松堂 朴英, 杏亭 都衡 등의 인물이 영향을 끼친 星州에서 태어나 고 자라서 출사하고 만년을 보냈던 인물이다. 야계와 사마시 동년이었 던 晦齋 李彦迪 및 7년 연하인 南冥 曺植과 退溪 李滉 등이, 학문적 역량을 크게 드러내었던 시대에 이들과 같이 살면서, 어떠한 삶을 살면 서 어떠한 작품세계를 구축하고 있는지 살펴보는 일은, 성주의 학술사 를 이해하는 데 있어서도 반드시 필요한 일이거니와, 영남의 유학사 및 나아가 우리나라 조선초기의 유학사 내지 정신사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작업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1816년에 초간 목활자본이 나오고 1924년 중간 목판본이 나올 때까 지 남아 전하는 작품이 많지는 않지만, 그렇다고 하여 그냥 묻어두기에 는 우리 유학사 내지 정신사의 한 부분을 빠뜨려 두는 일인지라, 이에 대한 연구는 꼭 이루어져야 할 것임은 말할 필요가 없다. 이 논문에서의 논의를 요약하여 정리해 보면 대체로 다음과 같다. 첫째, 야계의 가계는 시조로부터 9세에 이르기까지는 합천 야로 지역 에 世居하다가 야계의 6대조인 관찰사 宋構가 성주로 이거함에 따라 성주 사람이 되었다. 야계는 대대로 중앙 관직을 역임한 유력한 가문의 후예로서 어릴 적에 杏亭 都衡으로부터 학업을 익혀 20세에 진사가 되고, 26세에 문과에 급제하여 중앙의 청현직을 두루 거치고 지방직으 로는 상주목사, 김해부사, 대구부사 등을 역임하였다. 그러나 상주목사에 재임 때 문과 동년인 金光準이 사욕을 부리려는 일에 동조해주지 않음으로 해서 그의 원한을 사게 되었고, 명종 즉위 초에 司憲府 執義로 있으면서 文定王后의 밀지에 따라 尹任·柳寬·柳仁 淑 등의 세 대신을 처형토록 하는데 합의하자는 大司憲 閔齊仁과 大司 諫 金光準의 견해에 목숨을 걸고 반대한 것으로 인해, 54세 때 대구부 사로 재직하던 중에 良才驛 壁書事件이 일어나자 乙巳名人들이 다시 대거 화를 당하였는데, 이 때 야계도 전라도 高山으로 유배되었다. 58 세 때 放還되어 高山亭을 지어두고 65세까지 유유자적하게 살았다. 둘째, 야계의 문학은 그의 삶이 보여주는 것과 같이 孝敬忠信을 체득 하여 실천하는 면모를 여실히 보여주고 있으며, 한편으로는 공자의 제 자 曾晳에게서 보이는 유유자적함과 물아일체를 만끽하는 浴沂風雩의 삶을 추구하였음도 확인하였다. 이 두 가지 면모는 조선 초기 유자로서 의 전형적인 삶의 양식이었던 것으로 이해된다. 요컨대 야계는 관직 생활에서 사림으로서의 확고한 자세를 일관되게 유지함으로써 이른바 을사명인으로서 후세에 널리 알려지게 되었고, 퇴처한 뒤 향리의 생활에서는 효제충신과 욕기풍우의 자세를 지니고 유유자적함으로써, 15세기 전반기 사림의 한 전형을 보여주었다고 할 만하다.
4.
2015.08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논문은 丁卯·丙子胡亂 전후 朝庭의 公論을 이끌었던 주요 인물 중 하나였던 趙絅의 대외인식과 척화론을 시기별로 구분하여 그 내용 과 특징을 정리한 연구이다. 이를 통해, 鄭蘊 이외에는 별로 주목받지 못했던 非西人係 인물의 척화론을 고찰함으로써 당시 政派를 가리지 않고 지지받았던 척화론의 성격을 究明하였다. 그리고, 對明義理의 강 고한 心性的 기반이 어떻게 朝·淸(後金) 양국의 대외관계에 영향을 미 치고 있었는지도 살펴보았다. 덧붙여, 병자호란 이후 조경이 주장한 明과의 密通, 助兵反對, 日本請兵 등이 어떠한 역사적 배경에서 제기되 었으며, 어떤 성격을 가진 논의였는지 재검토하였다.
5.
2015.08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장현광 성리설이 지닌 성향은 이이 지지, 퇴·율의 절충, 이황 친화, 독자적 성취 등의 순서로 다양하게 평가되어 왔다. 최근 이이 친화적인 인물임을 주장하는 연구가 나와 그 동안 간과되었던 장현광 성리학의 한 측면을 자세하고도 설득력 있게 조명하였다. 그러나 논자는 이것이 장현광 학설의 일면일 뿐, 모든 것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무엇보다 그가 理發 개념에 부여한 의미가 이이의 것과 다르다. 그는 이이가 소홀하게 여긴 理의 필연적 작용력을 매우 강조하는데, 이런 경향은 오히려 이황 이 지향한 정신에 가깝다. 본고는 장현광이 중시한 理의 특성인 ‘필연’ 의 의미를 규명하고, 선악의 문제와 인간 심정의 해석에 이것을 적용하 여 일관되게 설명해 보고자 한다. 그는 선배학자들인 이황과 이이의 이론을 절충하여 자기만의 독자적인 학문세계를 구성해내었는데, 이이 의 학설을 지지하였다기보다는 이황의 이론을 수정 보완한 것에 가깝 다고 판단된다.
6.
2015.08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한국과 중국에서 산은 단순한 자연체(自然體)가 아니다. 평평한 대지 위에 유독 우뚝하게 솟아 오른 산의 형상은 무언가 신비로운 일이 벌어지며, 설명되지 않는 생로병사의 열쇠를 지고 있는 어떤 신비로운 존재가 있다고 상상하던 곳이었다. 산에 대한 숭배와 상상 력은 하늘의 신과 소통하며 인간사를 다스리는 산신(山神)을 창조 하였다. 한국과 중국 전통 종교에서 산신은 지상과 자연신 중에서 가장 높은 지위를 가지며 존숭되어왔다. 한국과 중국 산신신앙 중 특이한 점은 특정 산에 거하면서 역사대 대로 그 영향력을 지대하게 발휘하던 여신, 즉 여산신이 있었다는 점이다. 이 여산신은 세속적 민중의 신으로 대단한 응집력을 보이며, 정치 권력층이나 신흥종교와 융화되었다. 한국 지리산의 성모와 한라산의 설문대할망, 중국 상상속의 산 곤륜산의 서왕모와 태산의 벽하원군은 이와 같은 여산신의 특징을 잘 보여주는 양국의 대표 여산신이며 그 영향력이 현재까지 이어지 고 있다. 본고에서는 지리산 성모, 한라산 설문대할망, 곤륜산 서왕모, 태산 벽하원군과 관련된 신화 자료를 중심으로 한중 여산신의 다양한 형 상을 살펴보고, 변화하는 그들의 모습에서 여산신 신앙의 변이과정 과 그 의미를 살펴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