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唐代 鉛釉陶器의 생산 및 수출 지역의 변화와 그 의미 KCI 등재

A Study on the Change and Meaning of the Production and Export Region of Lead-glazed Stoneware of the Tang Dynasty

당대 연유도기의 생산 및 수출 지역의 변화와 그 의미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749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7,800원
東洋美術史學 (동양미술사학)
동양미술사학회 (Association of Asian Art History)
초록

당대는 축적된 연유기술을 바탕으로 화려한 삼채도기 문화를 꽃피운 시기였다. 당대의 연유도기는 이전의 단색 연유기술과 달리 다양한 색상의 구현이 가능했으며, 세 가지 색 이상을 혼용하기도 하여 시각적인 화려함이 극대화되었다. 소위 당삼채라는 당대의 대표적 연유도기는 7세기 중반 盛唐 이후 크게 유행하였다. 주로 부장품인 明器로 활용되었으나 출토 상황에 의하면 일상생활에서도 적지 않게 사용되고 있음이 확인된다. 오늘날 고고학적 발굴 성과에 의하면 당대의 연유도기는 화북 및 화남 등 여러 窯場에서 생산되었으며, 중국 내 소비와 함 께 동아시아는 물론 동남아시아와 서아시아로까지 널리 수출되어 활발한 소비가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 당대의 주력 생산품이었던 당대 연유도기의 생산과 소비, 그리고 수출에 관한 그간 학계의 연구성과를 소개하고 관련 논제들을 검토해보고자 하였다. 아울러 그간 동아 시아에 비해 덜 주목되었던 동남아시아와 서아시아 지역의 출토 사례를 중심으로 해외 전파와 그 의미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몇 가지의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먼저 여러 발굴 성과를 토대로 살펴보면, 당대 厚葬문화 덕에 初唐부터 이미 삼채 도용이 대규모로 생산되었고, 이는 황족묘나 고관대작 분묘 출토품을 통해 어렵지 않게 추정이 가능하다. 하지만 한 편으로 섬서 서안의 中堡村이나 하남성의 張思忠夫婦墓 등의 출토 예를 통해, 無官職이거나 중상급의 평민계층 사이까지 폭넓게 향유되었음을 알 수 있어 이는 당대의 전형적 부장문 화임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8세기 중엽 안녹산의 난(755~763) 이후, 화려한 당삼채의 생산이 종식되고 대 신 백유녹채의 생산이 활발해졌다. 이는 성당기의 삼채와는 성격을 달리하는 새로운 채유 도기로 성당시기 당삼채는 부장용 명기의 성격이 강했으나, 9세기 백유녹채도기는 실용기에 가깝다. 그런데 이 백유녹채도기의 제작을 촉구한 역사적 배경은 바로 8세기 후반 이후 바닷길을 통해 이루어진 서아시아, 즉 이슬람제국과의 교역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9세기 폭발 적으로 증가한 이슬람과의 도자무역은 결과적으로 이슬람 시장과 영향력에 대한 당나라의 태도에 기인한 것이라 판단된다. 이는 단순히 동방의 연유 도기가 이슬람권에 수출된 것이 아니라 이슬람권의 기호를 중국 측이 수용한 결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The Tang Dynasty was a period when three colors of pottery flourished based on the accumulated technology of lead glaze. Lead-glazed Stoneware of the Tang Dynasty was able to implement a variety of colors, unlike previous monochrome lead-glaze technology, and it was possible to combine more than three colors to maximize its magnificence. Tang sancai [the three-colored ware], which is the representative lead-glazed stoneware in tang dynasty became popular after the High Tang Dynasty in the middle of the 7th century. It was mainly used as a grave goods, but according to the excavation data it is confirmed that used in everyday life. According to today’s archaeological findings, the lead-glazed Stoneware of the Tang Dynasty was produced by several kiln sites, including both northern and southern part of China. Along with consumption in China, it has been widely exported to East Asia as well as Southeast Asia and West Asia and had been actively consumed. In this study, I wanted to introduce the research results of academia on the production, consumption and export of the Lead-glazed Stoneware in the Tang Dynasty, which was the main product of the Tang Dynasty, and examine related issues. In addition, plans to examine Overseas propagation and its meaning with the focus on the cases of excavated in Southeast Asia and Western Asia, which have been less noticeable than in East Asia. As a result, I was able to draw a few conclusions. On the basis of various excavation results, three-colored ware figure have already been produced on a large scale from Early Tang due to the lavish burial culture of the Tang Dynasty, This can be easily estimated through the Excavated article of the royal family tomb or high office tomb. on the other hands, it can be confirmed that sancai figures had been enjoyed among the upper middle class including non-official civilians by the excavations of zhongbaocun(中堡村) in Xi'an and Tomb of Zhang SiZhong(張思忠夫婦墓) in Henan province. However, after the middle of the 8th century An Lushan Rebellion(安史之 亂,755~763), the production of magnificent three-colored ware was terminated and the production of green on white lead-glazed Stoneware became active. This is a new glaze colored pottery which is different from the three colored pottery of High Tang Dynasty. The three colored pottery of the High Tang Dynasty were mainly grave goods, but the 9th green on white lead-glazed Stoneware was close to a practical ware. It is interesting to note that the historical background that prompted the production of this green on white lead-glazed Stoneware was the trade with West Asia, that is to say Islamic empire, through the sea route since the late 8th century. In particular, the explosive growth of ceramic trade with Islam in the 9th century is consequently attributed to Tang’s attitude toward the Islamic market and its influence. This is not merely the export of lead glazed stoneware of Eastern to the Islamic world, It should be seen as the result of China's acceptance of the Islamic tastes.

목차
Ⅰ. 머리말
 Ⅱ. 당대 연유도기의 생산과 소비
  1. 당대 연유도기의 생산과 발달
  2. 당대 연유도기의 소비
 Ⅲ. 당대 연유도기의 해외 전파와 그 의미
  1. 해외 출토 상황:서아시아와 동남아시아
  2. 해상실크로드로서 의미
 Ⅳ. 맺음말
저자
  • 김은경(고려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 Kim Eun-Kyoung (Korea University Graduate School, Department of Archaeology and Art H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