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 원장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환경 위험요인을 밝혀 유아교육 기관 운영은 물론 교사와 가정의 영유아 보육(Edu-care)의 역할을 효율적으로 지원할 수 있도록 돕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유아교육기관에 재직 중인 원장 244명이었다. 연구를 위하여 김혜경(2011)의 직무환경 위험요소 척도와 Maslach와 Jackson(1986)의 소진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version으로 평균과 표준편차, ANOVA 검증 및 Scheffé의 사후검증, 적률상관분석 및 회귀분석(regression analysis)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원장의 개인변인 중 채용유형, 학력, 월수입, 교직경력에 따른 직무환경 위험요인의 하위변인 및 전체와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직무환경 위험요인 전체와 하위변인 중 도전 기회부족과 역할 모호성은 냉소, 정서고갈, 개인 성취감 감소, 직무소진 전체와 정적인 상관이 있었다. 셋째, 원장이 인지한 직무환경 위험요인 중 업무과다, 도전적 기회부족, 역할 갈등, 업무모호성은 직무소진 전체를 높이는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의 결과는 원장의 사회적, 정서적 지원을 통해 효율적으로 원장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정책적 지원의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risk factors of the work environment that affect the burnout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center director and to help the effective support of the edu-care role of the teacher and the parents as well as the operation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44 early childhood education center director. For the study, Kim, Hye-Kyeong (2011)' work environment scale and the Maslach and Jackson (1986)' burnout scale were used. The collected feeds were analyzed by SPSS 21.0 version using mean and standard deviation, ANOVA validation and the Scheffé post- test, right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personal variables of the director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ub – variables and the entire work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recruitment type, academic ability, monthly income, and career experience. Second, the overall work environment, challenge and ambiguity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emotional exhaustion, depersonalization, personal accomplishment and overall burnout. Third, work overload, challenge, role conflict, and ambiguity among the work environments recognized by the general manager had an effect on the overall work burnou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policy support to carry out the role of the director effectively through the social and emotional support of the direc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