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Effect of pheromone dose and trap height on male capture of black pine bast scale, Matsucoccus thunbergianae, and development of new pheromone synthesis method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9882
모든 회원에게 무료로 제공됩니다.
한국응용곤충학회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초록

솔껍질깍지벌레는 남부지방의 곰솔을 가해하는 주요 해충으로 최근 그 분포범위가 확산되고 있다. 현재 솔껍질깍지 벌레의 모니터링은 난낭의 조사를 통해 이뤄지고 있으나, 이는 매우 많은 인력이 필요하며 부정확하다. 따라서 페로몬을 이용한 솔껍질깍지벌레의 모니터링이 새로운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하지만 이 역시 적절한 가이드라인이 없어 현장적용에 큰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 에서는 페로몬을 이용한 솔껍질깍지벌레의 효율적인 모니터링 기법 개발을 위하여 최적 페로몬 방출농도 및 트랩설치 방법을 규명하였으며, 페로몬의 새로운 합성기법의 개발 통하여 경제적 효율성을 기하였다. 성 페로몬에 대한 수컷 솔껍질깍지벌레의 유인효과는 100 μg부터 1,600 μg 까지의 처리에서 용량의존적인 관계를 나타내었으며 이 이상으로 처리할 경우 페로몬 처리 증가에 따른 유인개체수가 증가하지 않았다. 트랩의 설치 높이를 지표면으로부터 50cm, 100cm 150 cm로 구분하여 조사한 결과 지상부로부터 50cm에 설치한 트랩에 가장 많은 개체가 포획되었다. 새로운 방법으로 합성한 페로몬 역시 기존 페로몬과 마찬가지로 페로몬 처리량과 유인 개체수 간 용량의존적인 관계가 나타났다.

저자
  • Sung-Chan Lee(Department of Forest Sciences, Colleg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Jun-Hyeong Kwon(Department of Forest Sciences, Colleg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Seon-Mi Seo(Department of Forest Sciences, Colleg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Seoul National University/Research Institut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 Seoul National University)
  • Min-Jung Huh(Department of Forest Sciences, Colleg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Il-Nam(Department of Forest Sciences, Colleg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Ji-Hong Park(Department of Forest Sciences, Colleg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Il-Kwon Park(Department of Forest Sciences, Colleg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Seoul National University/Research Institut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 Seoul National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