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4차 산업혁명시대 전통미술놀이를 적용한 학습자의 공감능력 향상에 관한 연구 KCI 등재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mprovement of Empathy Ability Through Traditional Artistic Activiti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7021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400원
미래교육연구 (The Journal of Future Education)
한국미래교육학회 (The Korea Association of Future Edcation)
초록

이 연구는 전통미술놀이를 통해 초등학생들의 공감능력 향상을 목적으로 한다. 서울시 소재 초등학교 5학년 학생 52명을 통제집단과 실험집단으로 나누어 사전-사후 인성공감능력(도덕적 공감, 감성적 공감, 사회적 공감)과 미적공감능력(사고개방성, 독립성, 심미성) 설문을 통해 조사하였고, 그 결과를 통계분석 프로그램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또 포트폴리오 및 수업활동자료, 소감문, 관찰을 통하여 이 연구의 효과에 대한 질적 검증을 실시하여 최종 결론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전통미술놀이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은 통제집단 학생들에 비해 도덕적 공감, 감성적 공감, 사회적 공감, 사고개방성, 독립성, 심미성이 모두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따라서 본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공감능력 키우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연구는 전통미술놀이 활동이 우리 미술문화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4차 산업혁명시대의 미래교육 방향으로 제시한 인간의 정서적 소통과 공감능력 함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데 의의가 있다.

In this study, there is a purpose the influence of traditional artistic activities on the empathic ability of primary school students. Seoul city Elementary School 5th grade 52 people were divided into a control group and an experiment group. We surveyed through the questionnaire on the Personal empathy ability (Morality, Emotionality, Sociality) and the aesthetic empathy ability (Aesthetic impression, Independence, Openness of thought) before and after the education of the two groups. The results were analyzed using statistics analysis program SPSS 22.0 program. In addition, we verified the effect of this study through portfolio, classroom activity, impression sentences, and observation. As a result,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education improved their Morality, Emotionality, Sociality, Aesthetic impression, Independence, Openness of thought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this study program has an influence on improvement of empathy ability of students. In this study, we show that traditional artistic activities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human emotional communication and empathy ability, which indicates the direction of future education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목차
요 약
 I.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3. 용어의 정의
  4. 연구의 제한점
 II. 이론적 배경
  1. 4차 산업혁명시대 교육과 전통미술놀이의 의미
  2. 공감능력과 전통미술놀이의 의의
 III. 연구 방법
  1. 실태 조사 및 분석 결과
  2. 연구대상 및 기간
  3. 검증도구 및 평가 방법
  4. 연구대상의 공감능력 동질성 검사
  5. 연구과제 설정
 IV. 연구 결과
  1. 연구과제의 실천
  2. 양적 검증 결과
  3. 질적 검증 결과
 V. 결론 및 제언
 참고 문헌
 Abstract
저자
  • 김해진(신용산초등학교) | Haejin K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