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FRP 보강 원형 CFT 기둥의 구조성능 실험평가 KCI 등재

Experimental Evaluation on Structural Performance of Circular CFT Columns Reinforced with FRP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7043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복합신소재구조학회 논문집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dvanced Composite Structures)
한국복합신소재구조학회 (Korean Society for Advanced Composite Structures)
초록

콘크리트로 채워진 강관기둥은 많은 구조 시스템에서 기둥으로 널리 사용되며 강재가 항복하고 구속효과가 감소하여 국부 좌굴이 발생한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FRP를 보강하여 국부 좌굴을 지연시키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 논문은 반복 압축하에서 FRP로 보강된 CFT의 압축성능에 관한 것이다. 두 가지 유형의 FRP (Aramid FRP, SRF Polyester Belt)가 다양한 보강두께와 겹수로 CFT 외부에서 보강하여 비교 분석된다. 또한, CFRP에서 제안 및 사용된 공식에 기초하여 시험 기관의 실험 값을 평가하고 그것이 사용될 수 있는지를 결정할 것이다.

Concrete filled steel tubes are widely used as columns in many structural systems and suffer local buckling problems by yielding the steel and reducing the confining effect. To overcome these drawbacks, we propose a method to delay local buckling by reinforcing steel with FRP. This paper focuses on the compression performance of the FRP reinforced CFT under cyclic compression. Two types of FRP(Aramid FRP, SRF Polyester Belt) are reinforced, analyzed and discussed outside the CFT with a variety of reinforcement thicknesses and reinforcement layers. In addition, we will evaluate the experimental values of the test body based on the proposed formula used in CFRP and determine whether it can be used.

목차
Abstract
 1. 서 론
  1.1 연구 배경 및 목적
  1.2 선행 연구 분석
 2. FRP 보강 CFT 기둥 성능평가
  2.1 강관과 FRP의 콘크리트 구속효과
  2.2 구속유효계수
  2.3 기둥의 압축내력식
  2.4 에너지 소산(Energy Dissipation)
 3. AFRP, SRF를 활용한 판폭두께 비가 다양한원형 CFT 기둥의 보강성능 실험
  3.1 실험계획
  3.2 소재별 재료적 특성
  3.3 가력방법
  3.4 실험체의 예상내력
 4. 실험결과
  4.1 하중-변위 관계
  4.2 실험체 파괴모드
  4.3 AFRP, SRP 보강에 의한 CFT 기둥의 내력 상승효과
  4.4 하중-변형률 곡선
  4.5 AFRP, SRF 보강된 CFT 기둥의 변형성능 효과
  4.6 최대내력과 예상내력의 비교
 5. 분석 및 고찰
  5.1 보강 소재별 CFT 기둥의 내력 상승 효과
  5.2 AFRP와 SRF 두께와 겹수, Strip 유무에 따른 내력
  5.3 FRP 종류별 변형성능
 6. 결 론
 REFERENCES
 국문초록
저자
  • 최원호(서울시립대학교 건축공학과) | Choi Wonho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University of Seoul)
  • 신쟁연(영림건축사사무소) | Shin Jaengyoun (YoungLim Architectural Office)
  • 류재용(서울시립대학교 건축공학과) | Ryoo Jaeyong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University of Seoul)
  • 박용필(아원구조엔지니어링) | Park Yong-Pil (Awon Structural Engineering)
  • 최성모(서울시립대학교 건축학부) | Choi Sungmo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University of Seoul)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