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2015년 하계 및 추계 동해 남서해역에서 출현하는 살오징어 (Todarodes pacificus) 유생의 분포 양상 KCI 등재

Distribution of Common Squid Todarodes pacificus Larvae in the Southwestern Part of the East Sea in Summer and Autumn, 2015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7049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해양환경안전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and Safety)
해양환경안전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초록

동해 남서해역에서의 살오징어 유생 출현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2015년 8, 9, 11월 여수 근해부터 평해 연안까지 총 35개 정점에서 IKMT 네트(망목 : 500μm)를 사용하였으며, 초기 생활단계의 주요 해양환경 인자인 수온은 CTD(SBE9plus)로 관측하였다. 유생의 월별 외투장 자료의 통계처리를 위하여 SPSS software(ver. 12.0)를 이용하였다. 채집된 살오징어 유생의 개체수는 총 228개체로 외투장 범위는 1.4-21.9㎜였다. 유생밀도 범위는 8월에 0.2-5.2inds./1,000m3, 9월에 0.1-3.2inds./1,000m3, 11월에 0.3-7.9inds./1,000m3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유생은 연안측 정점보다 조사해역의 동남부인 부산 근해에서 더 높은 밀도를 보였다. 8, 9, 11월의 유생출현률은 각각 64.3%, 62.9%, 68.6%였다. 평균외투장 범위는 5.24-5.68㎜였으며, 월별 평균외투장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0.05). 또한 외투장 분포에서 4-5㎜ 구간의 유생이 최다 출현빈도를 보였다. 유생이 채집된 정점에서 유생의 생존이 가능한 수온대가 8월에는 대부분의 정점에서 표층부터 약 20m 부근까지 유생이 서식하기에 부적합한 수온대가 존재하였던 반면, 9월과 11월에는 표층부터 유생이 서식하기 적합한 수온대가 형성되었다. 또한 얕은 수심의 연안쪽 정점에서는 표층에서 저층까지 적수온대가 형성되었으며, 100m 이상의 깊은 수심의 외양 쪽 정점에서는 표층부터 수온약층의 상층부까지 유생의 생존가능한 수온대가 형성되었다.

To determine the horizontal and temporal distribution of common squid larvae, Todarodes pacificus (hereafter T. pacificus), we conducted surveys using an IKMT net (mesh size: 500 μm) with a Fisheries Research Vessel (FRV, TAMGU 21) in the southwestern part of the East Sea in summer (August and September) and autumn (November) 2015. A total of 228 larvae, ranging in mantle length (ML) from 1.4 mm to 21.9 mm, were collected at 35 stations over the research period. The monthly average mantle length of T. pacificus larvae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in August, September and November. (p > 0.05). Catch densities at positive stations ranged between 0.1 and 7.9 inds./1,000 m3 over the research period. Incidence rates of T. pacificus larvae were similar over three months, in the study area (62.9 % - 68.6 %). The 4 - 5 mm mantle length range had the highest frequency in size-frequency distributions for T. pacificus larvae. The larval survival temperature (15 - 24 ℃) at positive stations for catch densities was located below a 20 m depth in August whereas it was located at the surface of the water in September and November. The survival temperature for larvae existed from the bottom to the surface of the water where larvae were sampled larvae in shallow sea areas. However, the larval survival temperature occurred in a shallower location than the upper layer of the thermocline in deep sea areas at a depth below 100 m.

목차
요 약
 Abstract
 1. 서 론
 2. 재료 및 방법
 3. 결과 및 고찰
 4. 결 론
 References
저자
  • 김윤하(국립수산과학원 연근해자원과) | Yoon-Ha KIM (Fisheries Resources Management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Fisheries Science)
  • 신동훈(국립수산과학원 수산자원연구센터) | Dong-Hoon SHIN (Fisheries Resources Research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Fisheries Science)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