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대학교수의 플립드러닝 수업 운영의 내러티브: “의심에서 진심으로의 여정” KCI 등재

Narrative of a University Professor on Classroom Management through Flipped Learning: “Journey from Doubt to Sincerit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70588
  • DOIhttps://doi.org/10.25051/jner070107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Journal of Narrative and Educational Research)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Narrative Education)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신임교수로서 겪은 플립드러닝 강좌 개발 및 운영 경험을 정리하고 이를 사례연구 형태로 제시하여 다른 교수자들과 공유하는 것이다. 연구자는 J대학교에 임용 직후 플립드러닝 강좌를 개발해야 했다. 플립드러닝에 대한 지식과 노하우가 교수자와 학생 모두에게 전무한 상황이었지만, 효과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플립러닝 학습효과에 대한 교수자의 의심, 낯선 수업운영 방법에 대한 학생들의 의심, 교수자와 학생 서로 간의 의심 이상 세 가지의 장벽을 극복해야 했다. 각각의 수업은 교과목의 특성 및 기대 하는 바가 고려된 고유한 수업 설계 형태로 제작되어야 한다는 플립드러닝 선행연구의 내용을 토대로, 연구자는 성공적인 수업 운영을 위해 일부 학생이 주도하는 수업이 아니라 모든 학생들이 참여하여 학습하고 토론하는 수업을 만들고자 여러 가지 시도를 진행 하였다. 예를 들면, 토론학습 중심의 플립드러닝 수업 운영의 구조를 개발하기, 토론학습을 촉진하는 평가전략을 개발하기, 매력적인 콘텐츠를 개발하기, 토론학습에 익숙해지도록 토론주제의 난이도를 점진적으로 조절하기 등과 같은 주요 전략들을 개발하고 활용했다. 수업 운영 결과, 교수자의 정답과 의도에 과의존했던 학생들이 자유롭고 협력적으로 토론학습에 참여하는 방향으로 학습태도의 변화가 있었으며, 사전사후 만족도 평균 역시 4.24에서 4.47로 향상되었다. 이러한 연구자의 경험은 성공적인 플립드러닝 교과 운영을 위해서는 정형화된 설계·운영이 아니라 상황적 맥락 하에서 고유한 접근을 시도해야 함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있다. 마지막으로 연구자의 경험을 바탕으로 교과목 성격 및 기대를 고려한 최적의 설계 지원과 다양한 수업사례 발굴·공유, 교수자 경험 중심의 지원 방안 마련 필요 등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ummarize a new professor’s experience of developing and operating flipped learning courses and presenting a case study on the courses with an aim of sharing the experience with other instructors. This researcher had to develop a flipped learning course immediately after being appointed at J University. Owing to the lack of knowledge and know-hows of flipped learning on part of both the instructor and students, three hurdles needed to be overcome for its effective operation: instructors’ doubts on the efficacy of flipped learning, students’ concerns about operating in an unfamiliar class, and doubts among the instructors and students. According to the previous studies on flipped learning that required that each lesson be prepared in the form of unique instructional desig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and expectations of the curriculum, this researcher has strived to create classes for successful operation, wherein all students can participate, learn, and discuss rather than classes led by only some of the students. For instance, this study has developed and applied the following major strategies: to develop an operation structure of the flipped learning class that focuses on discussion learning, to develop evaluation strategies to facilitate discussion learning, to develop attractive educational content, and to gradually adjust the difficulty level of discussion topics, allowing students to adapt to discussion learning. The class operation results revealed the change in the learning attitudes of students from overdependence on the right answers and intentions by instructors to free and cooperative participation in discussion learning in addition to enhancement of the satisfaction levels before and after the class from 4.24 to 4.27, respectively, on average. The researcher's experience is significant in that successful flipped learning requires unique approach under a situational context rather than formalized design and operation. In conclusion, based on the researcher's experience, this study suggests the necessities of optimal design support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and expectations of each subject, collecting and sharing various case studies on flipped learning classes, and preparing supportive measures based on the instructor’s experience.

목차
Abstract
 요약
 Ⅰ. 이야기 시작하기: 연구자의 고민, 세 가지 의심
 Ⅱ. 연구자의 고민을 플립드러닝 수업으로 담아내기
 Ⅲ. 적합한 플립드러닝 수업을 개발하기
 Ⅳ. 연구자의 의심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들
  1. 플립드러닝 강좌에 가장 적합한 교과목을 탐색하기
  2. 효과적인 플립드러닝 수업 운영의 구조를 탐색하기
  3. 2차시 토론질문을 중심으로 수업 계획하기
  4. 매력적인 토론 콘텐츠를 확보하기
 Ⅴ. 학생이 가진 의심을 극복하도록 지원하기
  1. 서먹서먹한 분위기를 풀어주기
  2. 매주 무작위로 조를 편성하여 다양한 학생들과 소통하도록 하기
  3. 토론에 개입하여 경청하고 칭찬해주기
 Ⅵ. 나와 학생들 간의 의심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들
  1. 점진적으로 토론 질문의 난이도를 조절하기
  2. 토론을 마친 후 학습내용을 요약해주기
  3. 토론학습을 고취하는 평가전략을 개발하기
  4. 매력적이고 흥미로운 콘텐츠 개발하기
  5. 심화학습 자료를 제시하기
 Ⅶ. 의심을 딛고 이루어진 토론학습의 소중한 경험
  1. 자신감을 갖고 계기가 된 4주차 토론수업
  2. 토론수업의 가치를 경험한 4회 차 토론수업(6주차 수업)
 Ⅷ. 학생들의 변화
  1. 긍정적인 학습활동의 모습
  2. 사전사후 만족도 조사를 통해 본 학생들의 마음
 Ⅸ. 이야기를 마치며
 참고문헌
저자
  • 옥지호(전주대학교 경영학과) | Ok Chiho (Jeonju University)
  • 김필성(경북대학교 기획처) | Kim Pilseong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