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漢書藝文志≫ 詩賦略에 나타난 옛 한대인의 문학관 KCI 등재

The Literature of Ancient Han period in the ≪HanshuYiwenzhi≫ 'Shifulue(詩賦略)'

≪한서예문지≫ 시부략에 나타난 옛 한대인의 문학관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7221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700원
中國學 (중국학)
대한중국학회 (Korean Association For Chinese Studies)
초록

중국인들이 음란한 음악의 대명사로 흔히 일컽는 鄭衛之聲이란, 바로 娛人을 주 목적으로 하는 女樂이 중심이 된 연회용 악무인 것 같다. 당시 악부에는 궁중연회에서 천자와 貴人들을 즐겁게 할 목적으로, 女樂 등의 鄭衛之聲을 채집·작사·작곡·연주·공연했던 것이다. 이런 현상은 궁중에서 뿐만 아니라, 귀족과 외척 집안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앞의 《한서·成帝紀》에 “종과 북을 설치하고 女樂을 갖추었다.”(設鐘鼓, 備女樂)라고 하고 있고, 《예악지》에 “천자와 女樂을 다투는데 이르렀다.”(至與人主爭女樂)라고 하고 있다. 女樂이 중심이 된 鄭衛之聲인 이 娛人의 연회용 樂舞라는 것은, 娛神이 근본 목적인 무속제의에서 신을 즐겁게 하기 위하여 淫樂한 巫舞를 추는데서 연원되어진 것이라 할 수 있다. 孔子가 내치고 중국 유가인들이 음란한 음악의 대명사로 여기는 이 鄭聲이란, 바로 이런 오락적 성격이 강한 음악을 뜻하다. 이로 보아 궁중에서 祭儀歌 뿐만 아니라 娛人用인 宴會詩도 크게 유행했음을 알 수 있다. 궁중도서 목록을 기록한《漢書ㆍ藝文志》詩賦略 歌詩에 저록된 여러 地方歌詩들은 실은 궁중연회에서 제왕과 貴人들을 즐겁게 만들기 위해 채집·작사·작곡·연주·공연된 지방음악인 것이다.

在《漢書ㆍ藝文志》詩賦略上, 漢代文學作品被分類屈原賦, 陸賈賦, 荀卿賦, 雜賦와 歌詩等五個種類. 106家1,318篇中,90%以上的作品遺失了. 現在傳來的作品是大部分屈原宋玉的楚辭系列作品, 荀子作品, 帝王自作, 當時得勢的諸侯王和高級官吏作品, 祭儀歌等. 他們爲滿足帝王的好奇心跟娛帝王的耳目, 發掘楚辭諸作品跟創作漢賦. 當時諸侯王和高級官吏都是優的性格所有者, 他們爲滿足帝王的耳目, 都動員美辭麗句的表現, 鋪裝敍述和列擧法的敍述. 詩賦略上的歌詩不是朴實的民間歌謠, 大部分被推測宮中祭儀詩, 宮中宴會詩, 稱頌詩和凱旋歌的軍樂.

저자
  • 김인호(동의대학교) | Kim In Ho
같은 권호 다른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