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漢語重動句的語用價値 KCI 등재

The Pragmatic Value of the Verb copying Sentences in Contemporary Chinese

한어중동구적어용가치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7222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100원
中國學 (중국학)
대한중국학회 (Korean Association For Chinese Studies)
초록

동사복사 구문은 현대 중국어에서 비교적 특이한 구조를 갖는 문형이다. 본고는 동사복사 구문의 화용론적 가치를 다각도로 연구하였으며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동사복사 구문은 정보구조에 따라 구조 강제형과 정보 보충형으로 나눌 수 있다. 구조 강제형은 정보 전달 시 반드시 동사복사 구문을 이루어야 한다. 그 구조를 이루는 성분으로는 다른 구문을 만들 수 없다. 정보 보충형은 전달하는 정보의 모호성이나 정보의 결함을 보충 설명하기 위해 구성되는 동사복사 구문이다. 둘째, 문장초점의 각조에서 보면, 동사복사 구문은 독특한 특징을 지닌다. 본고는 동사복사 구문을 기타 의미가 같은 문형으로의 변환과 비교를 통해 동사복사 구문의 화용론적 가치를 탐구하였다. 동사복사 구문은 다른 문형에 비해 문장의 초점을 쉽게 나타낼 수 있고 또 자연스럽다는 특징을 가진다. 셋째, 말을 통해 어떤 의미를 전달할 때 그 의미를 담는 문형 선택은 화자의 자유인 듯하다. 그러나 말을 할 때의 언어 환경이나 화자의 인지적인 면을 고려한다면, 화자의 문형 선택은 결코 임의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동사복사 구문도 실제 운용될 때 언어 환경적인 요소와 화자의 인지적인 요소의 두 측면에서의 제약을 받는다.

The first part provides the brief introduction of the verbcopying sentences and an overall plan of this paper.The second part of the paper gives a new interpret about the point of information structure of the verbcopying sentences. Based on the information structure of the verbcopying sentences, the paper has discovered two types of verbcopying sentences: the structure required type and the information complemented type. The former is formed under the press of the information structure that it can not properly arrange the component part of the sentence. The latter is formed to eliminate the vagueness of the sentence and to complete the information structure as a whole. The third part has discussed the role of the focus in the verbcopying sentences. Through the methods of transformation and comparativeness, the paper has found out its special pragmatic value and the advantages over the other sentence types in indicating focus of the sentences. In the forth parts of the paper, the paper has proved the factors of the context and cognition that affect the selection of use of the sentences. The paper has pointed out that although the user may refer the possibilities among variable sentences, it is not at will for him in the course of the sentence selection. Based on the above discussion, we can have the actual and deep understanding of the pragmatic value of the verbcopying sentences.

저자
  • 김윤경(신라대학교) | Kim Yoon-kyung
같은 권호 다른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