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시선과 응시, 창조와 참회의 변증법-과학(자)를 통해 본 이광수와 노신 소설 KCI 등재

Dialectics of sights and gaze, creation and penitence: Kwangsoo Lee and Lu Xun’s books through the eyes of the science (scientis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7229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100원
中國學 (중국학)
대한중국학회 (Korean Association For Chinese Studies)
초록

근대 한국 문학에서 구여성은 무식하고 관습을 좇으며 간혹 분에 넘치는 욕심을 부리지만 대체로 선량한 하층민으로 표상되었다. 현진건, 이기영, 강경애의 작품에 등장하는 대부분의 여성이 그렇거니와 이로써 이들은 '불행한 조국'을 상징하는 알기 쉬운 환유가 되었다. 그들의 고난과 희생은 수난당하는 조국의 운명과 동일하게 읽혔기 때문이다. 그러나 따져보면 여기에는 분명 의아한 구석이 있다. 구여성은 대관절 언제부터 문학사에 등장했을까. 한국문학에서 이들 구여성이 계급성을 획득하는 시기는 카프(KAPF)의 등장과 맞물려 있지만 사실 이들은 어느날 혜성처럼 문학사에 신여성이라는 강력한 존재가 등장하면서 저절로 특정한 의미로 자연화된 측면이 있지 않을까. 예컨대 근대일본문학의 기원을 논하며 가라타니 고진은 일본 근대 문학에서 근대 문학이 자연화되어가는 과정을 '풍경의 발견'이라는 발상으로 설명한 바 있다. 고진의 설명처럼 기원이 사후적으로 구축된다면 구여성이라는 '슬픈' 기원 역시 신여성이 등장한 후 이와는 대조적으로 구축된 근대적 관념이기도 할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노신의 소설을 보면 노신이 바라본 하층민, 특히 구여성의 모습에서는 이제 막 재현되기 시작하는 '중국적인 것'의 기원으로 그 의미가 안착되고 있는 구여성의 존재가 감지된다. 서술자의 시선은 이들을 집요하게, 그리고 꾸준히 따라간다. 흥미로운 것은 이들이 종종 익숙하기보다 기묘하게 낯선 존재로 다가오는 점이다. 병든 아이를 돌보는 어머니(《내일》)는 한국 소설의 어머니보다 더 늙고 체념적이며 비합리적이다. 근대 한국 문학에 비해 어딘가 지나친 측면이 있는 것이다. 이 논문은 이 지나침의 배후로 의학도의 시선을 되받아치는 응시를 지목했지만 여기에는 또한 노신의 개인사도 개입하고 있다. 노신이 《광인일기》에서 의학도의 감각으로 이 슬픈 기원을 해부하기 시작했을 때 이미 그는 성숙한 장년이었던 것이다. 떠나온 자였으되 한편으로 여전히 고향의 이런저런 풍속을 기억하고 그곳에 아내를 둔 내부인이기도 했던 그의 처지는 노신의 문학에서 의학이 가치중립적 지위를 넘어서 그 시선의 권위를 감지하는 자기반성적인 기제로 전환되는 것을 설명해준다. 주체의 시선과 응시가 뒤엉키는 곳에서 의학은 문학이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축원례》에서 이 슬픈 기원이 가르쳐 준 것은, 뒤늦었지만 주체이기 전에 이미 대상이었던 의학자 자신이다. 반면 이광수는 이 점에서 훨씬 자유로웠다. 동일한 이유를 붙이면, 십대에 유학을 떠나 문명을 날리면서 춘원에게는 이 슬픈 기원이 제대로 보이지 않았다고 할 수 있다. 춘원을 추동한 것은 무에서 유를 창조하는 연금술의 이상이었고 그것은 귀국한 춘원이 창조해야 할 근대문학 자체이기도 했다.《개척자》에서 춘원은 희귀한 주체, 화학도를 내세워 그 가능성을 열렬하게 타진했지만 정작 춘원이 만들어낸 창조의 꽃은 그의 모순적인 근대성을 모조리 흡수해 용해시키는 '새로운 기원'-신여성이었다. 이로써 춘원이 창조한 한국 근대문학의 주체들은 과학(자)의 젠더지향성에 쉽사리 포섭된다. 그러나 이에 대한 정밀한 분석은 구여성이 등장하는 춘원의 다른 작품을 보아야 하므로 여기서 다룰 바는 아니다. 이 논문은 근대 초기 한국과 중국에서 과학과 문학이 만나는 현장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한 시론일 따름이다.

This thesis will attempt to reconstruct a scene where science and culture intersect in two authors’ works through the representation of science (scientists) in Kwangsoo Lee and Lu Xun’s books. In the modern East Asia, science is not known not as technical and professional knowledge, but rather viewed as modern and enlightening, affecting the construction of modern literature. Lu Xun’s《A Madman’s Diary》and《Well Wishes》 and Kwangsoo Lee’s《Pioneer》successfully portray the representation of science (scientists) through modern subjects and the relationship of women. Firstly, in《A Madman’s Diary》, scienceis portrayed as a medical sentiment that attempts to dissect Chinese history. However, the one-sidedness of this kind of sentiment raises doubts about the subjects of that support this sentiment. This portrayal is fully disclosed in《Well Wishes》, completely reversing the situations of the modernistic character narrater and the female character. This reversal shows Lu Xun’s point of view about "what is really Chinese." On the other hand, in Kwangsoo Lee’s works, science is portrayed more like a literature. The main character of《Pionee r》, a chemist, tries to materialize the ideals of creation during the colonial Chosun period with a similar passion of an artist, but due to the failure of one experiment, he faces a subjectivity crisis. This crisis is solved by the appearance of a repenting woman. The solution –appearance of the woman – shows gender subjectivity of Korean Modern Literature, led by Kwangsoo Lee. Nonetheless, it remains to be seen whether this point of view can be applied to all of Kwangsoo Lee and Lu Xun’s works.

목차
1. 들어가며
 2. 의학도의 분석
  2.1. 해부의 감각
  2.2. 응시하는 자
 3. 화학도의 이상
  3.1. 창조의 열정
  3.2. 참회하는 자
 4. 나오며
저자
  • 김주현(동의대학교) | Kim Ju Hyeon
같은 권호 다른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