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松江 鄭澈의 漢詩에 나타난 陶淵明의 受容樣相 KCI 등재

A Study on the Appearance of Tao Yan-ming's Reception in Jeong Cheol's Chinese Poetry

송강 정철의 한시에 나타난 도연명의 수용양상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7230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8,100원
中國學 (중국학)
대한중국학회 (Korean Association For Chinese Studies)
초록

松江이 활동하던 시대는 倭의 침입으로 임진왜란의 난리가 있었고, 조정에서는 黨爭으로 인한 정치적 다툼으로 인해 정치 ․ 사회적으로 혼란이 극심한 시기였다. 이러한 시기에 西人의 우두머리로서 정치에 몸담았던 송강은 黨派로 인한 답답한 심정과 謫所生活에서 겪는 고민을 해소하고자 도연명이 자연을 벗 삼아 참신하고 깨끗한 삶을 살았던 田園閑居 생활을 흠모하고, 그의 영향을 받아 自然憧憬의 시를 읊었다. 송강은 도연명처럼 자의적으로 歸去來하지는 않았다. 그러므로 타의에 의한 謫所生活에서 出仕에 대한 의욕을 잃지 않고 있다가 마침내 임금의 은혜로 謫所에서 풀려나 정계에 복귀되어 좌의정이라는 높은 벼슬에까지 오른 것은 도연명이 자의적으로 전원에 歸去來한 후 다시는 조정에서 불러도 정치에 뜻을 두지 않은 出處觀과는 다른 양상을 보여준다. 이것은 임금에 충성하고 經世濟民에 뜻을 두었던 16세기 조선 士林들의 出處觀과 송강도 같이한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한편 도연명은 政治道義가 상실되어 不義한 방법으로 신하에 의해 왕위가 찬탈되어 晉에서 宋으로 나라가 바뀌자󰡒천하에 도가 있으면 벼슬하고, 도가 없으면 물러나 숨는다.(天下有道則見, 無道則隱.)󰡓와 󰡒달통하면 나서서 천하를 구제하고,막히면 할 수 없이 물러나 자신을 착하게 한다.(達則兼善天下,窮則獨善其身.)라는 儒家의 관념에 出處觀을 두었고, 송강은 맹자가 말한 󰡒삶도 내가 원하는 바요, 義도 내가 원하는 바이지만, 이 두 가지를 겸하여 얻을 수 없을 진댄 삶을 버리고 의를 취하겠다.(生, 亦我所欲也. 義, 亦我所欲也. 二者不可得兼. 舍生而取義者也.)󰡓에 出處觀을 두어 經世濟民하고자 끝까지 벼슬에 대한 집착을 하였다. 이를 보면 兩人의 出處는 儒家의 가치관에 의해 정했다는 것이 相似點으로 나타났다. 松江은 당시 黨爭으로 인한 정치 현실에서 고뇌를 해소하고, 謫所생활에서의 위안을 얻는 데는 술만큼 좋은 媒介體가 없다고 생각하였다. 이것은 도연명이 憂愁를 잊기 위해 술을 마셨다는 점과 일치한다. 도연명은 비록 다섯 편의 시에서 짧은 시구로 국화사랑의 시를 표현하였으나, 周濂溪가 그의〈愛蓮說〉에서 󰡒국화는 꽃의 은일자다.(菊, 花之隱逸者也.)󰡓라 말하고, 󰡒晉의 도연명은 유독 국화를 사랑하였다. (晉陶淵明獨愛菊)󰡓라고 말하여 도연명의 국화사랑을 특별히 부각시킨 이후 송강도 󰡐菊花󰡑하면 도연명이 동쪽 울타리 밑에 심었던󰡐黃菊󰡑을 연상하였고, 국화를 통해 名利로부터 탈속하여 선비로서의 고결한 자태를 보여준 도연명을 국화사랑의 대표자로 생각하며 존경과 흠모하는 시를 읊었다. 田園은 생명의 근원이 샘솟고, 자연의 숨결과 생동감이 넘치는 곳이며, 순박하고 다정다감한 정서가 깃들어 있는 곳이다. 그리고 우리 인간들에게 勤勉과 休息을 주는 최후의 安息處이기도 하다. 도연명은 일반 전원시인들과는 달리 그의 시에서 田園에 대한 讚美와 함께 몸소 전원에서 躬耕한 체험을 바탕으로 田園의 생명력이 솟구치는 활기찬 정경을 읊어 후인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이에 松江도 도연명이 읊은 시구와 典故를 援用하여 도연명의 田園閑居에 대한 동경의 시를 지었다. 陶淵明이 만년에 쓴 〈桃花源詩幷記〉는 晋 ․ 宋年間에 민중들이 정치의 災禍로부터 피할 수 있는 장소를 찾아 이상사회를 추구한 당시의 시대적 배경이 잘 나타난 작품으로 人口에 膾炙되어 왔다. 이 작품은 간결한 언어와 뛰어난 造語力으로 순박하고 화목한 농촌사회를 이상세계로 삼아 老子의 ‘小國寡民’ 이나 儒家의 ‘大同世界’ 이념을 잘 형상화하여 혼란시대에 처한 인간들의 간절한 희망을 반영시켰다. 도연명의 이상향인 桃源世界는 신선이 사는 세계가 아니라 포악한 秦의 난리를 피해 漢나라가 있었다는 것은 물론 그 뒤로 魏나라 晉나라가 있었다는 사실을 모르고 살면서 조상에 제사지내고, 손님에게 닭을 잡아 술을 대접하는 다정다감한 情感과 불 때서 밥해 먹는 인간사회의 정황을 묘사하였기에 松江도 도연명이 묘사한 儒家的 관념의 桃源世界를 갈망하였다. 인간은 누구나 죽음이라는 운명으로부터 피할 수 없는 존재이다. 죽음을 눈앞에 둔 도연명은 죽음으로부터 해탈하고자 不老長生을 추구하는 道家나 靈魂不滅의 佛家에도 관심을 가져 보았다. 그러나 여기서도 宿命的인 죽음을 해결할 방도가 없음을 깨달은 그는 儒家的인 自然歸依觀에 최후의 몸을 맡겼듯이 송강도 도연명처럼 儒家的 삶의 방식을 추구하다가 그의 생을 마쳤다. 결국 兩人은 1200년 가까운 시대적 차이와 각기 다른 국가에서 다른 정치 ․ 사회의 풍파를 겪으면서 각자의 삶을 살아갔지만, 兩人의 자연사랑과 은일관념은 儒家的 관념으로 불후의 전원시가 문학을 창작한 것이 일치하며, 兩人의 문학세계는 후대 시가 문학발전에 큰 공헌을 한 인물로 평가해야 할 것이다.

松江對於仕途有着强烈的執着, 他六次出仕, 又六次被罷免. 然而六次的辭官幷非都是他的本意, 而是跟其它客觀因素帶來的驅逐流放有關聯. 松江的終極目標幷非在自然和隱居生活上, 而是通過自己的直接參與來實現“經世濟民”的理想上. 因此逃避複雜的現實, 而選擇自然方面和陶淵明是相同的. 然而松江的隱退幷非是他自愿的. 松江生活的十六世紀的朝鮮, 士林們所追求的是“經世濟民”的理想. 江湖自然和政治現實相互排斥的當時, 松江在隱居生活中只能等待着重新復出的機會. 因此松江再次復出時能够官至左議政, 而相比之下, 陶淵明在歸隱之後, 卽使朝廷再次召喚他, 他也沒有回應. 在這一點上, 兩人形成了鮮明的對照. 松江和陶淵明一樣, 對酒情有獨鐘. 在他的741首漢詩中, 描寫酒的詩歌就占三分之一. 對于喜好酒的原因, 松江說: “某之嗜酒有四, 不平一也; 遇興二也; 待客三也; 難拒人勸四也.” 但是最重要的原因是, 由于松江生活的時代“士禍”和黨派爭鬪不斷, 所以對于受牽連而被流放的他來說, 酒是傾訴自己的苦衷和排解憂愁的最好的工具. 雖然陶淵明描寫菊花的作品只有五篇, 但是在他短短的詩句中, 足以看出他對菊花的喜愛之情. 因此後世文人一說菊花, 就自然會聯想到陶淵明的 “採菊東籬下”的名句. 作爲熱愛菊花代表人物, 陶淵明不沈迷于功名利祿, 他以超凡脫俗的淸新姿態而受到人們的尊敬和愛慕. 松江也跟着陶淵明把超凡脫俗․淸新自然的菊花作爲自己的創作素材, 以此來表明了文人高潔的姿態. 田園是生命的源泉, 他擁有自然的氣息和生動感, 是孕育淳朴和豊富情感的地方. 田園爲我們人類提供了勞動和休息的場所, 以及生命的安息處. 在陶淵明的詩歌中 包含了對田園的讚美和對田園閑居生活的熱愛. 因此, 松江也引用陶淵明的詩句, 道出了對田園生活的無限憧憬. 名作《桃花源詩幷書》是陶淵明晩年創作的作品. 它反映了民衆徹底擺脫晉宋時期的暗黑的政治, 追求理想社會的共同心願, 因此在民間廣爲傳誦. 詩歌以簡潔的語言和出衆的造句能力,描繪了朴素、和睦的鄕村生活. 作爲作者認同的理想世界. 他用生動的筆調形象地展現了老子所說的“小國寡民”和儒家所提倡的“大同世界”, 這也是戰亂時代民衆的懇切希望. 陶淵明描述的桃源世界和儒家在現實中所追求的生活模式一樣, 松江也極力想展現有人間煙火的理想世界, 而幷非是道家所謂的神仙世界. 在這一點上, 兩人的思想觀點是一致的. 人類的死亡是一種必然. 面對死亡, 陶淵明起初是想依靠道家和佛家來擺脫它的, 但是無法解決死亡宿命論, 促使他來選擇儒家的自然觀, 永遠地歸依自然. 松江也和陶淵明一樣選擇了歸依自然的儒家方式.

목차
1. 序言
 2. 陶淵明과 松江의 出處觀 비교
 3. 松江의 漢詩에 나타난 陶淵明
  3.1. 歸去來兮
  3.2. 田園閑居
  3.3. 飮酒忘憂
  3.4. 愛菊吟詠
  3.5. 桃源世界
  3.6. 人生無常
 4. 結語
저자
  • 金周淳(대구가톨릭대학교 중어중문학과) | 김주순
같은 권호 다른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