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17세기~19세기 강우 유학의 흐름과 쟁점 KCI 등재

Sholarship trends and issues of Gangu Confucianism during the 17th~19th centur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72726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남명학연구 (The Nammyonghak Study)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The Nammyong Studies Institute)
초록

본고는 이황과 조식의 문도들에 의하여 그 학문이 계승 발전되면서 한국적 성리 철학의 틀이 잡혀가고 있던 17세기로부터 성리학이 그 역사적 기능을 종료하던 19세기까지에 걸쳐 강우지역에 나타난 유학의 흐름과 쟁점에 대한 간략한 정리이다. 17세기 초반 강우학파는 鄭仁弘을 중심으로 정치적·학문적 극성기를 누렸으나, 정인홍이 조선성리학의 정통으로 간주된 이황을 비판하고 패륜적 정치사건에 휘말린 일을 계기로 하여 급격히 몰락하게 되었다. 그 후 거의 한 세기에 걸친 시기 동안 강우 유학은 그 餘震의 치유에 매달려야 했으며, 심각한 학문적 침체기를 맞게 된다. 17세기 후반에서 18세기 동안 강우지역은 학계의 소외지역으로 남아 있었으며, 몇몇의 학자들에 의하여 간신히 명맥이 유지되는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였다. 퇴계학과 畿湖의 주기학이 강우를 점령하고, 당파적으로는 남인과 서인이 됨으로써 강우가 본래 가지고 있던 학문적·정치적 정체성을 상실하게 되었다. 긴 어두움이 지나고 19세기에 이르자 강우 유학은 다시 크게 떨치고 일어나는데, 그 주력은 退溪學과 호남의 蘆沙學의 영향권 하에 있었다. 그 특징은 理를 중시하는 학풍이 다른 어떤 곳보다 강했다는 것이며, 이는 성리학적 신념을 고수하는 유학자들이 서세동점의 시기에 대응하는 가장 완고하면서도 근본주의적인 방법이었다. 이를 통해 절의론의 신념을 강화한 강우의 유학자들은 비록 시대의 변화에 탄력적으로 대응하지 못했다는 한계는 있지만, 보수적인 유학자들이 행할 수 있는 가장 적극적인 방법으로 국권상실의 시대에 자기에게 맡겨진 임무를 수행해 갈 수 있었다. 그것은 유학의 기능이 종언을 고하는 시대를 화려하게 장식하는 불꽃과 같은 것이었다.

This paper sought to summarize Confucian philosophies practiced in Gangu(the right side of Gyeongsang Province). Such philosophies were developed in the 17th century when Neo-Confucian philosophy was handed down and developed by followers of Lee Hwang and Cho Sik. Its Korean version was still being settled in the 19th century when Neo-Confucian philosophy lost its historic function. The political and scientific teachings of Jung In-hong in the Gangu school sect in the early 17th century were at their peak. As Jung In-hong criticized Lee Hwang and got involved in political scandals, however, the sect rapidly lost its following. For nearly a century thereafter, the Gangu Confucian philosophers had to deal with aftershock pains and faced recession. From the late 17th to the 18th century, the Gangu region had to remain estranged from school circles. Its philosophies were barely maintained by a few scholars. The Toegye science and Jugi philosophies overtook the Gangu sect and developed into the Namin(south man) and Seoin(west man) political parties. As a result, the Gangu sect lost its scientific and political identity. After the long, dark times preceding the 19th century, the Gangu sect rose again. Its mainstream was placed under the influence of Toegye philosophy and Nosa philosophy in the region of Honam. Compared to other sectors, the Gangu sect was characterized by its emphasis on principles(li). Confucian philosophers adhering to Neo-Confucian philosophy offered strong resistance when western powers invaded the oriental nations. The conservative Gangu philosophers reinforced their belief on fidelity to justice and cheerfully performed their obligations in the era when the nation lost its power, although they could not flexibly cope with the changing times. This was like a flame that brightened the era when Confucianism was ending.

저자
  • 金洛眞(晉州敎大 道德科) | Kim Nak-j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