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목욕서비스 제공자를 위한 이동형 목욕보조기기 개발 및 효과성 검증 KCI 등재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Verification of Portable Bathing Assistive Device for the Bathing Service Provider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7309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600원
대한작업치료학회지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대한작업치료학회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목욕서비스 제공자의 편의성, 업무효율성, 안전성 증진을 통한 근골격계질환 발생 위험성 예방 및 감소시킬 수 있는 이동형 목욕보조기기 개발과 이의 효과성 검증에 목적을 두었다.
연구방법 : 목욕서비스 제공자는 광역시 소재 요양병원에서 근무하는 간병인, 요양보호사 2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목욕서비스 제공자와 전문가집단의 의견수렴을 거쳐 개발한 이동형 목욕보조기기 프로토타입을 사용하였다. 사전평가로 Rapid Entire Body Assessment(REBA), Visual Analogue Scale(VAS)를 하였으며, 사후평가로 REBA, VAS, Korean version of Quebec User Evaluation of Satisfaction Assistive Technology(K-QUEST 2.0), 사용자의 주관적 의견을 설문조사하였다. 사용 전후의 REBA와 VAS를 비교하기 위해 t-test로 분석하였으며,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 상 관분석을 하였다. 일반적 특성과 종속변수 간의 분석을 위해 ANOVA를 실시하였다.
결과 : 이동형 목욕보조기기 프로토타입을 사용 후 평가결과, 2가지 자세(목욕용품 사용, 샤워기 사용)에서 측정되었던 REBA 조치수준이 ‘높음’에서 ‘낮음’으로 변경되었다. 통증 정도는 보조기기 사용 후 팔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감소되었으며 전체 평균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사용 후 만족도 에서는 규격과 무게를 제외한 6개 항목에서 ‘보통’으로 나타났다. 사용 전·후에 따른 종속변수들 간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에서는 높은 상관성을 보이지 않았으며 일반적 특성과 종속변수 간의 통계적 유의성 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에서 최종 개발한 이동형 목욕보조기기는 목욕서비스 제공자의 신체적 부담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편의성, 효율성, 안전성도 증진시킬 수 있는 보조기기로서의 역할이 가능하다고 예상된다.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erify the effectiveness of prototype portable bathing assistive device for the bathing service provider that can reduce the physical burden and increase their convenience and safety.
Methods: The prototype of portable bathing assistive device was developed after collecting opinions from the bathing service providers and experts. The subjects were 24 caregivers and nursing care workers in rehabilitation hospitals. The research tools used were the prototype portable bathing assistive device developed in this study. REBA, VAS, K-QUEST 2.0 were used as evaluation tools as well as subjective opinions of users after using prototype portable bathing assistive device.
Results: The result of REBA scores measured before and after using prototype portable bathing assistive device revealed that the action level was reduced from ‘high’ to ‘low’. Pain levels were lower in all items excepts for arms. There showed a significance in mean scores. K-QUEST score was found to be ‘normal’ in 6 items except dimension and weight. There showed no higher correlation between dependent variables and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The final design of portable bathing assistive device presented after adopting subjects’ opinions.
Conclusion: It is expected that portable bathing assistive device developed in this study can serve as an valuable device to reduce the physical burden of the bath service providers and increase their convenience, task performance, and safety as well.

목차
국문초록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자
  2. 연구 도구
  3. 연구 절차
  4. 분석 방법
 Ⅲ. 연구 결과
  1. 이동형 목욕보조기기 프로토타입 사용 전ᆞ후작업 자세 분석
  2. 이동형 목욕보조기기 프로토타입 사용 전ᆞ후통증 정도 비교
  3. 이동형 목욕보조기기 프로토타입 사용 후만족도
  4. 목욕보조기기 사용 전ᆞ후 차이에 따른상관관계 분석
  5. 일반적 특성과 종속변수 간의 분석
  6. 이동형 목욕보조기기 사용 후 사용자의견 설문
  7. 이동형 목욕보조기기 최종 디자인 제안
 Ⅳ. 고 찰
 Ⅴ. 결 론
 References
 Abstract
저자
  • 손영효(첨단우암병원) | Son Young-Hyo (Chumdanwooam Hospital, Occupational Therapist)
  • 정현애(동신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Chung Hyun-Ae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ongshin University)
  • 박제모(동신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Park Je-Mo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ongshin University)
  • 김희동(동신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Kim Hee-Dong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ongshin University)
  • 황도연(순천향대학병원 부속 천안병원) | Hwang Do-Yeon (Cheonan Soonchunhyang University Hospital)
  • 이지훈(동신대학교 작업재활센터) | Lee Ji-Hun (Dongshin University Occupational Rehabilitation Center)
  • 정화식(동신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Jung Hwa-Shik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ongshin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