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온라인 게임과 청소년 일상문화에 대한 고찰 KCI 등재

A Study on the Online Game and Youth Daily Cultur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7320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700원
사회적질연구 (Korean Journal of Social Quality)
한국사회적질학회 (Korean Association on Social Quality)
초록

본 연구는 사회적 공간이자 상호작용성을 그 특징으로 하는 청소년 온라인 게임문화에 대해 다양한 논의의 시발점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사회문화적인 관점에서 심층적 고찰을 하였다. 특히 청소년들의 일상이 되어버린 온라인 게임이용에 주목하여 온라인 게임을 이용하는 데 있어 영향을 미치는 사회구조적 변수는 무엇인지 알아보았고 아울러 일상문화 연구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모든 문화는 일상에서 나온다. 일상이 모여 다양한 생활양식이 형성되고 전파되어 하위문화가 정립된다. 때문에 청소년의 온라인 게임 과몰입을 포함해 게임을 기준으로 발생한 다양한 사회적 현상과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청소년의 일상에 주목하여 단순한 매체로서의 게임이 아닌 일상으로서의 게임과 관련된 문화기술적 연구가 절실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청소년 온라인게임 문화 연구의 기폭제가 될 수 있을 것이며 아울러 여가문화를 포함한 청소년 일상문화 연구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conducted an in-depth study on the youth online game culture, whose characteristics include social space and interactivity, from the sociocultural perspective so that this can serve as a triggering point for more diverse discussions on it in the future. Focusing especially on the use of online game that has become a daily life to youths, this study looked at what socio-structural values are having effect on their use of online games, and also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researches on daily culture. Every culture comes from daily life. When daily life is added up, diverse lifestyles are formed and spread, and the subcultures are established. Therefore, in order to solve diverse social phenomena and social problems caused by games, such as the youth being overindulgent in online games, ethnographic researches related to games, not as a simple medium, but as a daily life, are urgently required, while paying attention to daily life of youth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come a catalyst for researches on the youth online game culture, and also become the basic data of researches on the youth daily culture including leisure culture.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온라인 게임과 인간
  1. 위험사회와 개인화 그리고 온라인 게임
  2. 사회통합적 기능을 발휘하는 게임
  3. 전략적 생활양식으로서의 온라인 게임
  4. 온라인 게임 속 정치, 경제, 사회활동
 Ⅲ. 청소년의 온라인 게임 이용 현황
  1. 스마트폰과 온라인 게임
  2. 셧다운제도와 기능성 게임의 출현
  3. 대중문화를 반영한 온라인 게임과 게임방송 및 게임소설
 Ⅳ. 청소년 일상문화에 대한 연구방법론
  1. 일상생활론
  2. 일상생활 연구방법의 중요성
 Ⅴ. 끝마치며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조민식(서정대학교 상담아동청소년과) | Min-Sik CHO (Dept. of Counseling for Child & Youth, Seojeong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