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깊은 보의 전단 거동 해석 KCI 등재

Finite Element Analysis to Determine Shear Behavior of Prestressed Concrete Deep Beam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7361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전산구조공학회 논문집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한국전산구조공학회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초록

본 논문에서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깊은 보의 전단 강도를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수치해석으로 예측해 보았다. 프리스트레스의 정도를 주요 변수로 하여 전단 강도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유한요소해석 프로그램인 Abaqus를 사용하여 CDP재료 모델과 초기조건을 설정함으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깊은 보의 전단 강도를 비교적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으며 오차는 5%이하였다. 또한 깊은 보의 strut-and-tie 모델과 동일한 형태를 나타냈으며, 해석이 타당하다고 본다.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깊은 보의 전단 강도를 예측하기 위해 제안된 수식으로 전단 강도를 계산하였을 때 실제 전단 강도보다 큰 수치를 얻었다. 텐던에 가해진 프리스트레스의 크기가 커질수록 깊은 보의 전단 강도는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현상을 보였다. 깊은 보의 전단 강도를 효과적으로 증가시키기 위해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깊은 보를 활용할 수 있다.

In this study, the shear strength of prestressed concrete deep beams is predicted using finite element analysis, and the variation in the shear strength according to the degree of prestressing is investigated. Numerical analysis results are compared with results obtained by the strut-and-tie model and associated experiments. Numerical analyses are performed on prestressed concrete deep beams with different values of concrete strength, effective prestress, ratio of tensile reinforcement, and shear span to effective depth ratio. The shear strength predicted by the numerical analysis is similar to the experimental value obtained, with an error of less than 5%. However, the strut-and-tie model highly overestimated the shear strength of prestressed concrete deep beams with a concentrated loading area. The ultimate shear capacity of prestressed concrete deep beams increased linearly with increasing prestresss applied to the tendon.

목차
Abstract
 1. 서 론
 2. 깊은 보의 전단 강도 예측식
 3.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해석
  3.1 재료모델
  3.2 유한요소 모델링
  3.3 수치 해석 결과
  3.4 예측식으로 계산된 결과
 4. 프리스트레스의 영향
 5. 결 론
 References
 요 지
저자
  • 김혜경(건국대학교 건축학과) | Hui-Jing Jin (Department of Architecture, Konkuk Univ.)
  • 김한수(건국대학교 건축학과) | Han-Soo Kim (Department of Architecture, Konkuk Univ.)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