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hak Poetry(道學詩) and 「Seodaepalyoung(西臺八詠)」 of Gakjae Ha Hang
각재 하항의 도학시와 「서대팔영」
南冥 曺植은 詩 창작이 교만심을 일으키므로 수양에 방해가 된다고 생각하여 ‘詩荒戒’의 입장을 견지했다. 그리하여 남명학파는 詩 창작에 대해 부정적이거나 소극적인 경향을 가졌다. 하지만 남명의 제자인 覺 齋 河沆은 이와 달리 詩 창작에 관심을 기울였으며, 詩 작품이 뛰어나다 는 평가를 받았다. 그렇다면 하항이 추구한 道學과 그가 지은 詩는 어떤 연관성이 있을까? 이 글의 문제의식은 이 점에서 출발했으며, 이 문제 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하항이 지은 道學詩에 주목했다. 그 결과, 하항의 道學詩는 문학을 통해 그가 추구한 道學을 밝히고자 했으며, 그 효용은 자신의 修己뿐만 아니라 世敎와도 관련이 깊었다. 남명을 비롯한 남명학파의 학자들이 ‘詩荒戒’를 견지하여 作詩를 부정 적으로 인식한 것에 비해, 하항은 시를 통해 도학의 효용을 이루고자 노력한 것이었다. 이러한 결론에 의거할 때, 남명학파의 학맥에서 河沆 - 河受一 - 河弘度 등으로 이어진 유파가 구축한 문학에 대해 구명하는 작업이 후속 과제로 이어져야 한다는 사실을 발견하게 된다. 또한 더 나아가서 는 남명학이라는 큰 흐름 가운데 다양한 유파의 특성을 구분하고, 그것이 어떻게 전승되어 나갔는지를 확인하는 연구들이 시작되어야 한다고 문제의식을 가지게 된다.
Nammyong Jo Sik thought that poetry writing provokes the sense of arrogance that it interferes with the meditation for his negative position on the matter. Therefore, the Nammyong School had negative or passive tendency toward the poetry works. However, one of the pupils of Nammyong, Gakjae Ha Hang, had significant interests in the poetry works and his poetry work was assessed to be outstanding. If so, what kind of relativity in the poems he wrote with the Dohak that Ha Hang strived for? The critical mind of this article starts from this point and the attention is paid to Dohak Poetry written by Ha Hang as a way for resolving this issue. As a result, Dohak Poetry of Ha Hang is intended to display the Dohak that he strived for through literature, and its efficacy is profoundly related to educate the others as well as the meditation of one's own. Nammyong and other scholars of the Nammyong School considered poetry writing as a negative endeavor but Ha Hang rather made effort to establish the efficacy of Dohak through poetry. Pursuant to such conclusion, in the academic context of the Nammyong School, the works to clarify understanding and characteristics of literature established by an academic sector, leading for Ha Hang to Ha Soo-il to Ha Hong-do, is shown to be on the ensuring task to be undertaken. Furthermore, there is a clear critical mind to begin the studies to classify diverse characteristics of the academic sector and confirming how it has been handed down under a great flow of Nammy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