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각과 청각자극이 동반된 상태에서 저교정 근시안과 근시성 난시안의 단음절 암기력
목적 : 청각자극(Auditory stimulus)이 동반된 상태에서 근시안과 근시성 난시안의 굴절교정이 가독성과 암기력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방법 : 대상자는 건강한 성인 중 구면굴절력이 -1.00 D 이상의 근시안 31명(평균 연령: 22.16±1.32세)과 원 주굴절력이 -1.00 D 이상의 근시성 난시안 29명(평균 연령: 23.04±1.40세), 총 60명으로 평균 등가구면굴절력은 -4.56±2.49 D이었다. 굴절상태는 시험안경테(TLS-AF, Topcon, Japan)로 완전 교정한 상태, 차폐한 상태 및 구면굴절력과 원주굴절력을 각각 -1.00 D 만큼 저교정한 상태로 조정하고, 이 상태에서 각각 4.5 m의 거리에 규칙성이 없는 일련의 단음절 시표를 보여주면서 시표의 글자와 동일하게 녹음된 음성을 일정한 속도로 들려준 상 태에서 피검사자가 암기한 음절의 개수를 암기력으로 측정하였다.
결과 : 근시안을 대상으로 완전교정, 구면굴절력 -1.00 D 저교정 및 양안 차폐 상태에서 암기력은 각각 15음절 중 6.03±1.87개, 3.30±1.42개, 3.70±1.79개, 난시안을 대상으로 완전교정, 구면굴절력 -1.00 D 저교정 및 양안 차폐상태에서 암기력은 6.11±1.76개, 3.81±1.21개, 4.48±2.05개로 근시안과 근시성 난시안에서 모두 저교정 상태에서의 암기력은 완전교정상태보다 저하되었고 차폐상태와 유사하였다. 암기력은 근시도 및 난시도에 따라 차이가 없었다. 또한 근시성 난시안에서 구면굴절력과 원주굴절력을 각각 저교정 상태에서의 암기력은 차이가 없었다.
결론 : 근시안 및 근시성 난시안의 굴절이상이 저교정된 경우 암기력이 유의하게 저하되었다. 따라서 암기력을 필요로 하는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시력교정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Purpose : We investigated the impact of undercorrected refractive errors on monosyllable memory with auditory stimulus in myopia and myopic astigmatism.
Methods : Sixty young subjects were participated and among them 31 were myopes (22.16±1.32 years) with ≥–1.00 D spherical power, and 29 were myopic astigmatism (23.04±1.40 years) with ≥– 1.00 D cylinder power and their mean spherical equivalent was -4.56±2.49 D. The refractive errors were corrected using Trial spectacles frame (TLS-AF, Topcon, Japan) for full correction (FC), and SPU (-1.00 D spherical power undercorrection), CPU (-1.00 D cylindrical power undercorrection) and VO (visual occlusion) condition. The ability of memorization was measured with showing a series of non-regular monosyllables with no regularity at a distance of 4.5 m, while the recorded monosyllable voices were played at a constant speed with FC, SPU, CPU and VO condition, respectively.
Results : The number of memorized monosyllables with FC, SPU and VO conditions were 6.03± 1.87, 3.30±1.42, 3.70±1.79, respectively in myopia, and 6.11±1.76, 3.81±1.21, 4.48±2.05, respectively in myopic astigmatism that the abilities of memorization with undercorrection of refractive error were lower than FC and similar with VO condition. In myopia and myopic astigmatism undercorrected, the abilities of memorization were not different with spherical errors and cylindrical refractive errors. In myopic astigmatism, the abilities of memorization were not different between spherical and cylindrical undercorrection.
Conclusion : In myopia and myopic astigmatism, the memorization ability with undercorrected condition was lower than fully corrected that correction of refractive error would be important to perform tasks requiring memorization ability efficient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