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단위학교 교사공동체의 실행공동체 특성 및 참여의 기제 KCI 등재

Factors of Participation and Characteristics for Community of Practice in a School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75872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교원교육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Center For Education Research)
초록

이 연구는 근무하는 학교가 교사의 전문성을 향상시키는 공간이자 교육에 관해 연구하고 성찰 하는 공간이 되도록 하기 위한 단위학교의 교사공동체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특히 이론적으로 학습을 공동체의 참여양식의 변화로 보는 실행공동체 관점을 취하였고, 단위학교의 교사공동체를 실행공동체로 간주하고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근무하는 학교에서 교사들이 전문성을 향상해가고 있는 것으로 보이는 수도권 소재의 한 학교를 사례로 선정하고, 이 학교의 교사공동체를 실행공동체적 관점에서 해석하고 그 특성과 참여의 기체를 조사하였다. 사례 학교 관련 보고서 및 각종 문서를 수집하고 교사를 대상으로 한 심층 면담자료와 함께 귀납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실행공동체의 특성으로는 학교의 교육목표와 핵심비전을 공유하고 있으며, 수업과 교육 활동에 대한 공적-비공식적 논의가 일상화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동료에 대한 신뢰를 바탕으로 한 호혜적 관계를 형성하고 있고, 교육 활동을 탐구(연구)하고 적용하는 교사연구 학습이 활발하게 일어나며, 교사들이 학교에 대한 주인의식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클라우드 시스템, 열린회의, 자체연수와 같은 실행이 공유되고 있음을 분석하였다. 또한 실행공동체 참여의 기제는 인적 측면, 환경적 측면, 성과적 측면으로 분석되었다. 인적 측면에서는 교사의 개별적 특성과 리더십이 참여 기제로 분석되었고, 환경적 측면에서는 물리적 환경과 제도적 지원 그리고 정책이 그 기제로 분석되었다. 성과적 측면에서는 교사 개별적인 성과와 학교의 교수활동의 성과가 참여 기제로 분석되었다. 결과를 바탕으로 단위학교의 교사공동체를 교사의 학습이 일어나는 실행공동체가 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안에 대하여 논하였다.

This study interpreted the teachers’ community in a school from the viewpoint of community of practice. We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teachers' community and the participation factors for forming such communities so that teachers can improve their professionalism and research in their schools.
A school in Seoul, which is actively interacting with its colleagues and open to the school's educational activities, was selected for the case study, and a survey was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five teachers. The research results indicate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munity of practice (COP) were shared with the school's educational goals and core vision and were confirmed with the public-informal discussions about class and educational activities that were common. In addition, we have formed a reciprocal relationship based on the trust of colleagues, and it is confirmed that teacher research study was actively explored (research) and there were applied educational activities with teachers possessing a sense of ownership of the school. Finally, program operations such as cloud systems, open meetings, and a self-training system were analyzed. We specifically analyzed the participation patterns of teachers in consideration of the participation level of COP with respect to these characteristics. This study analyzed the human, environmental, and performance aspects of the factors of forming a community of practice and discussed ways to support the unit school as a community of practice.

목차
요 약
 Ⅰ. 들어가는 말
 Ⅱ. 이론적 배경
  1. 실행공동체
  2. 실행공동체에서의 학습: 합법적 주변 참여에서 핵심 참여로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 참여자 정보 및 자료수집 방법
  3. 분석방법
 Ⅳ. 연구결과
  1. 학교의 실행공동체적 특성
  2. 학교 실행공동체의 참여 기제
 Ⅳ. 결론 및 논의
  1. 교사 개인의 참여 양상의 다양성
  2. 실행공동체 특성과 참여 기제 간의 상호연결성
  3. 학교의 공동체성을 형성하기 위한 환경적 요인의 지원
 References
 Abstract
저자
  • 조형미(전북대학교) | Cho Hyungmi (Chonbuk National University) 교신저자
  • 김진희(서울대학교 교육종합연구원) | Kim Jinhee (Center for Educational Research)
  • 나지연(춘천교육대학교) | Na Jiyeon (Chuncheo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김유정(창덕여자중학교) | Kim Yu Jung (Changdeok Girls’ Middle Scho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