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연속반응시간과제를 이용한 편마비 환자의 동측운동결함 분석 KCI 등재

Analysis of Ipsilateral Motor Deficits During Serial Reaction Time Task in Hemiplegi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7652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대한작업치료학회지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대한작업치료학회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초록

목적 : 편마비 환자에서 손상된 대뇌반구의 동측은 정상으로 인식되었으나 운동장애가 있음이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는 편마비 환자의 동측 상지를 이용한 연속반응시간과제에서 동측운동결함 여부를 정상군과 비교 관찰하였다.
연구방법 : 편마비 환자 18명(오른쪽 편마비 10명, 왼쪽 편마비 8명)을 대상으로 손상된 대뇌반구의 동측 손가락을 이용한 연속반응시간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환자군과 연령과 성별이 일치하는 정상군 18명과 비교하여 반응시간을 분석하였다. 연속반응시간과제는 구획설계와 무작위설계로 구성하였고 자극은 4가지 색깔(빨강, 노랑, 초록, 파랑)의 원모양이 하나씩 연속적으로 컴퓨터 모니터에 제시되었고, 연구대상자는 일련의 자극과 색깔이 일치하는 반응패드의 버턴을 가능한 빠르고 정확하게 누르도록 하여 반응시간을 측정하였다. 각 설계단위 당 10회 반복하는 것을 1블록으로 설정하여 총 3블록을 수행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이원분산분석으로 통계 처리하였다.
결과 : 구획설계와 무작위설계 모두에서 집단간 주효과 검증결과 집단 간에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었다(p<0.001). 그러나 오른손·왼손간 주효과 검증결과 및 집단×왼쪽·오른쪽간 상호작용에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p>0.001).
결론 : 환자군에서 연속반응시간과제의 반응시간이 정상군보다 느리게 나타나 편측 대뇌반구 손상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의 동측 상지에 동측운동결함이 발견되었다.

Objective : Recent several investigations reported that impared motor function were detected on the ipsilateral as well as the contralateral upper extremity of the damaged hemisphere in patients with hemiparetic stroke. We investigated to determined the presence of ipsilateral motor deficits in serial reaction time task, and to infer the possible causes of the deficits.
Methods : Eighteen stroke patients(10 right hemiplegia, 8 left hemiplegia) with fist-ever unilateral brain damage and the same number of normal control subjects were recruited, who were matched to sex and age. Subjects were assigned to press the matched button as quickly and accurately as possible, when one of four colored lights was displayed on computer screen(red, yellow, green, blue). We used three randomly order blocks and sequence order blocks respectively as motor paradigm of serial reaction time task. One block consisted of ten units that had ten stimulus. Reaction time was recorded during the tests.
Results : A two-way ANOVA showe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 main effect of group(P<0.001), but not in a main effect of damaged side(P>0.05) and the interaction of group×damaged side(P>0.05) on the tests of random and block task paradigms. And group comparison within each sides of the upper extremiti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of two test(P<0.05)
Conclusion : The findings provided by the experimental revealed that patients with unilateral brain damage have subtle deficits of the ipsilateral motor performance in serial reaction time task. We suggest that the ipsilateral upper extremity need to be carefully assessed in hemiparetic stroke patients in clinical neurorehabilit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2. 실험 방법
  3. 반응시간 측정방법
  4. 분석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 찰
 Ⅴ. 결 론
 참 고 문 헌
 Abstract
저자
  • 최진호 | Choi Jin-Ho
  • 박지원 | Park Ji-W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