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lphi Method on Course Subjects for Occupational Therapists as Assistive Technology Practitioners: Assistive Technology Services in General and for the Aged
목적 : 본 연구는 전반적인 보조공학과 노인을 대상으로 한 보조공학 서비스 전문가로서 필요한 교과목을 조사함으 로써 작업치료사의 보조공학 서비스 전문가로서의 자격요건을 확인하고 나아가 보조공학 서비스 전문가 심화과정 에 필요한 교육과목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 : 본 연구는 보조공학 전문가 집단 9명을 대상으로 총 3회에 걸쳐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1차 설문을 통해 수집된 전문가 집단의 의견과 국내 작업치료(학)과 및 재활공학과에 개설된 교육과목을 참고하여 최종 설문 지를 작성하였다. 연구기간은 2009년 8월 17일부터 12월 18일까지였으며, 설문 회수율은 1차, 2차, 3차 모두 100%이었다. 결과 : 작업치료(학)과 개설과목 중 작업치료사가 보조공학 서비스 전문가로서 필요한 자격을 갖출 수 있는 과목으 로 (재활)보조공학, 기능해부학, 일상생활동작, 스프린트 등의 14과목이 상사분위인 75%이상의 응답률을 보였다. 노인을 대상으로 한 보조공학 서비스 전문가로서 필요한 교과목에는 노인작업치료학, 근골격계 작업치료학, 인지 재활 등의 7과목이 상사분위에 선정되었다. 전반적인 보조공학 및 노인을 대상으로 한 보조공학 서비스 전문가 심 화과정에 가장 필요한 교과목은 주택 및 직장환경 개조 과목으로 나타났다(88.9%, 77.8%).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작업치료사가 보조공학 서비스 전문가로서 필요한 과목들을 학교 교육과목에서 습득하고 있 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근거를 바탕으로 복지용구 급여 서비스를 포함한 다양한 보조공학 서비스에서 작 업치료사의 역할을 구체화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보조공학 서비스 전문가로서 작업치료사의 역량을 증진 시키기 위한 보조공학 서비스 전문가 심화과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결과가 향후 보조공학 서비스 심화과정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Purpose : This study aims to examine what subjects of focus are necessary for assistive technology (AT) practitioners, both in general practice and for those working with the aged, thereby identifying the expert qualifications of occupational therapists. This study also aims to come up with the subjects required for advanced courses for AT practitioners. Methods : This study was conducted a total of three times on a group of nine AT practitioners using the Delphi method. A final questionnaire was prepared based on the following: (1) expert opinions collected through the first round of a questionnaire, and (2) educational courses opened in the domestic departments of occupational therapy and rehabilitation technology. The period of study was from August 17th to December 18th, 2009, and the rate of replies from the participants was 100% in all three rounds of the questionnaire survey. Results : Among the available subjects of focus in occupational therapy departments, fourteen, including assistive technology, functional anatomy,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splint, were in the first quartile as those that provide occupational therapists with AT practitioner qualifications. For such subjects for AT service practitioners working with the aged, seven, including geriatric occupational therapy, musculoskeletal occupational therapy, and cognitive rehabilitation, were in the first quartile. The most essential subject of advanced courses for AT practitioners in both general practice (88.9%) and for those working with the aged (77.8%) turned out to be house and work place remodeling. Conclusion : This study ascertained that occupational therapists are obtaining the necessary subjects as AT practitioners in their school courses. Given the evidence above, an effort to embody the roles of occupational therapists in a variety of AT services, including payment for assistive devices, is required. In addition, more advanced courses that enhance the capabilities of occupational therapists as AT practitioners need to be establish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tilized as the basic data for future AT practitioner cour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