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 치매노인 증상과 보호자의 부담감에 따른 방문작업치료 프로그램의 요구도를 파악하여 이를 토대로 방문작업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2010년 4월 5일부터 5월 15일까지 서울에 위치한 치매지원센터 5곳을 방문하여 외래 치료를 받고 있는 치매노인의 주 보호자 1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그 중 89부를 대상으로 SPSS 17.0을 이용하여 서술통계, t 검증, 분산분석, 상관분석을 하였다. 결과 : 치매노인의 중증도에 따라서는 환경수정, 여가활동 요구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며, 문제행동에 따라서는 여가활동, 보호자교육 요구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01). 치매노인의 인지수준에 따라서는 환경수정, 일상생활 요구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며, 보호자 부담감에 따라서는 일상생활, 문제행동 요구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01). 결론 : 치매노인의 특성과 보호자의 부담정도에 따라서 방문작업치료 요구도에 차이가 있었다. 치매노인의 중증도가 중등도 일 때, 인지수준은 목적지향적 학습단계(4.0~4.8) 일 때, 문제행동이 심할수록 요구도가 높았으며, 보호자 부담감은 중등도일 때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도가 높았다. 따라서 이러한 내용을 고려한 방문작업치료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연구가 지속되어야 한다.
Objective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ommon symptoms occurring inelderly community dwellers with dementia, along with an assessment of their caregivers' burden and the need for home-based occupational therapy. Methods : Survey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120 patients who visited theSeoul Dementia Center from April 15th, 2010, to May 15th, 2010. In total, 104 questionnaires were returned, but 15 were incomplete and excluded from further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a t-test, ANOVA, and correlation analysis using SPSS 17.0. Results : Caregiver requirements for a program that builds skills for living in a community home, a leisure program, and a caregiver education program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clinical dementia rating score (p<.01). The need for leisure programs and caregiver educational program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behavioral disturbance scores based on the Revised-Memory and Behavior Problem Checklist (p<.01). The need for activities in daily living programs and assistance with behavioral problems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caregiver burden (p<.01). Conclusion : This study ascertained the need for home-based occupational therapy for elderly community dwellers with dementia, and described what needs to be contained in a home-based program to reduce caregiver burden and increase the coping skills of those living in a community home envir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