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치매노인을 대상으로 한 스노즐렌 도구의 감각별 선호도 조사 KCI 등재

A Study on the Preference of Snoezelen Equipment of Elderly People With Dementi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7670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대한작업치료학회지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대한작업치료학회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자유로운 탐색으로서의 다감각 환경에서 치매노인들에게 제시된 스노즐렌 도구들에 대한 감각별 선호도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의 대상자는 강원도 W시에 위치한 노인전문요양원에서 치매 진단을 받은 노인 17명(남 3명, 여 14명)이며, 연구진행 방법은 스노즐렌 도구 사용에 익숙한 작업치료사 1인이 시각적 자극(6가지), 청각적 자극(1 가지), 촉각적 자극(6가지), 후각적 자극(1가지)이 주어지는 총 14가지 스노즐렌 도구를 일정한 순서로 1주일 간 격으로 1명당 총 2 회기(40분/1회기) 동안 탐색하도록 제시하였다. 각 도구별 선호도 측정을 위하여 2명의 작업치 료사는 7점 리커트 척도를 사용하였다. 측정자간 점수 일치도는 평균 82.5%(1 회기: 80.6%, 2 회기: 84.4%) 이었 다. 결과 : 연구 결과 둥근돌로 만든 촉각판, 곡식상자, 물기둥, 프로젝터, 밍크털 등의 익숙한 촉각 자극에 대한 선호도 는 높은 반면, 싸이키 조명, 아로마 향, 거친 촉각판, 광섬유와 같이 익숙하지 않고 자극적인 도구들에는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또한 클래식의 이완음악, 진동물침대, 밀러볼 등에는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결과를 종합적으로 보 았을 때 치매 노인들은 후각, 청각적 자극보다 촉각 및 시각자극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결론 :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스노즐렌 치료실을 구성 및 배치시 우선순위에 촉각, 시각적인 자극을 필수적으로 고 려하고 추후 환자별로 선호하는 도구에 따른 감각과 도구를 배치한다면 치매환자에게 보다 효과적인 프로그램을 운영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Objective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preference of Snoezelen equipment of elderly people with dementia. Methods : This study was carried out on 17 elderly people (3 male, 14 female) diagnosed with dementia at W nursing home. An Occupational Therapist experienced in the Snoezelen approach applied 14 Snoezelen pieces of equipment (6 visual stimulations, 1 auditory stimulation, 6 tactile stimulations, 1 olfactory stimulation) through 40-minute sessions with a set (certain) sequence, and every subject conducted two one-week sessions. Two occupational therapists individually measured the subjects' responses to the equipment based on a 7-point Likert scale. The inter-class correlation of the two occupational therapists was 82.5% (first session: 80.6%, second session: 84.4%). Results : The elderly people with dementia in this study showed a positive response to a tactile panel with a round pubble, grain case, water column with a light and bubble, a projector, and mink fur. On the other hand, they showed a negative response to psychedelic light, aroma scent, a tactile panel with a rough pubble, and an optic fiber, which are unfamiliar and stimulating equipment, and no or very little response to relaxing music, a water bed with a vibration device, and a mirror ball. In conclusion, elderly people with dementia showed a preference toward tactile and visual stimulating equipment more than olfactory and auditory stimulation. Conclusion : Tactile and visual equipment needs to be considered prior to setting up a Snoezelen room, and further study needs to pay attention to the effects of individually preferred equipment on the ease or decrease of symptoms of elderly people with dementia.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2. 연구 도구
  3. 연구 과정
  4. 분석 방법
 Ⅲ. 연구 결과
  1. 스노즐렌 도구의 감각별 선호도
  2. 회기별스노즐렌도구의선호도결과
 Ⅳ. 고찰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김정란 | Kim Jung-Ran
  • 박혜연 | Park Hae-Yean
  • 김진수 | Kim Jin-Soo
  • 유은영 | Yoo Eun-You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