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 이 연구는 장애 아동의 재활치료 목표 설정을 위한 Perceived Efficacy and Goal Setting System(PEGS)와 자기효능감 검사의 상관관계와 부모 만족도 및 임상적 유용성을 알아봄으로써 목표 설정을 위한 아동 평가 도구로 써의 활용가능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22명의 장애아동을 대상으로 PEGS의 내적일치도를 구하였고, PEGS와 지각된 자기효능감, 부모와 아 동의 PEGS의 상관관계를 구하였다. PEGS의 유용성 파악을 위해 부모 만족도와 작업치료사를 대상으로 평가 도 구 유용성 설문을 실시하였다. 결과 : PEGS의 내적일치도인 Cronbach's alpha 값은 .829이었다. PEGS의 아동과 보호자 평가 사이의 상관관계는 유의하지 않았지만, PEGS와 지각된 자기효능감의 상관관계는 유의하였으며 피어슨 상관계수는 .675였다. PEGS의 운동성 과제와 자기효능감 검사의 신체영역에서 상관성이 높았다. 결론 : 아동의 자기효능감을 통해 재활치료 목표 설정을 하는 PEGS와 자기효능감 검사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을 나타났으며, 평가 도구의 유용성도 높게 나타났다. 추후 검사-재검사 신뢰도, 목표의 지속성, 치료 중재의 효과성을 확립한다면 앞으로 국내에서 PEGS의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perceived competence scale with the Perceived Efficacy and Goal Setting System (PEGS), and to determine clinical utility and parent satisfaction as a means to set goals for the intervention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Methods : The internal consistency was tested, and its correlation was examined by administering the perceived self efficacy and comparing the children’s PEGS scores with those of their parents (N=22). For clinical utility and parent satisfaction, we surveyed 15 occupational therapists and 17 parents for their opinions. Results : Cronbach's alpha reliability for the PEGS was .829. The PEGS scores did not correlate for the children and parents, but the PEGS score did correlate with the perceived self efficacy. Also, the Pearson product-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was .675. We found a high correlation between PEGS and perceived self efficacy in assessing child motor competence. Conclusion :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EGS has high internal consistency, correlation, and clinical utility. We suggest that a further study is needed for analyzing the test-retest reliability and clinical effectiveness of the treatment proced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