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전반적 발달장애 유아를 대상으로 한 감각프로파일(Sensory Profile)의 구성타당도 연구 KCI 등재

Validation of the Sensory Profile for Korean Children With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7670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대한작업치료학회지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대한작업치료학회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전반적 발달장애 유아를 대상으로 감각프로파일(Sensory Profile)의 구성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방법 : 만 3∼5세 일반 유아 162명과 전반적 발달장애 유아 204명의 보호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번역판 감각프로파일의 평가용지와 평가지침서를 우편 또는 방문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구성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라쉬 분석을 실시하여 단일차원모형의 적합성, 항목의 난이도, 평정척도의 적합성을 제시하였다. 결과 : 감각프로파일의 구성타당도 검증을 위한 라쉬분석에서 23개 항목이 부적합 항목으로 판정되었고, 항목의 난이도 분석에서는 전반적 발달장애 유아의 감각처리능력에 비해 낮은 난이도의 평가항목들로 구성되어 있어 난이도가 높은 평가항목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감각프로파일의 평정척도분석결과 5점 척도보다는 3점 척도가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하여 감각프로파일의 구성타당도를 검증하였으며, 추후 연구에서는 감각프로파일의 임상적 유용성을 높이기 위해 난이도를 높인 새로운 평가항목과 3점 척도를 사용하여 한국형 감각프로파일을 개발하는 연구가 이뤄져야할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Sensory Profile in a sample of children diagnosed with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 (PDD). Methods : Parents of 162 normal children and 204 children with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PDD) between the ages of 3 and 5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Sensory Profile was investigated using Rasch analysis. Rasch analysis was used to identify unidimensionality, item difficulty, and validation of the rating scale. Results : The results of Rasch analysis showed that 23 misfit items and item difficulty of the Sensory Profile was lower than the sensory processing level of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PDD). As such, items of high-level of difficulty are needed as new items of the Korean Sensory Profile. A 3-point rating scale of the Sensory Profile was found to be more appropriate than the original 5-point scale. Conclusions : Finally, 4 items on the sedentary factor and 23 misfit items were eliminated, then the 5-point rating scale was converted into a 3-point rating scale. Further studies are needed in order to establish the clinical utility of the Korean Sensory Profile for children with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 (PDD). New items of a high-level of difficulty and new cutoff values using a 3-point rating scale is needed.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2. 연구 과정
  3. 측정 도구
  4. 분석 방법
 Ⅲ. 연구 결과
  1. 단일차원모형 적합성 분석
  2. 항목의 난이도
  3. 평정척도(Rating scale model) 분석
 Ⅳ. 고찰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박경영 | Park Kyoung-Young
  • 유은영 | Yoo Eun-Young
  • 정민예 | Jung Min-Ye
  • 박수현 | Park Soo-Hyun
  • 이재신 | Lee Jae-Shin
  • 박소연 | Park So-Ye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