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한글 Pediatric Evaluation of Disability Inventory(PEDI) 평가도구의 내용 타당도 검증 KCI 등재

Content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ediatric Evaluation of Disability Inventory(PEDI)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7671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대한작업치료학회지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대한작업치료학회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PEDI의 문화간 교차 사용을 위하여 한글 PEDI의 내용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 내용 타당도 검증은 아동재활관련 분야 전문가 38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내용 타당도 질문지는 네덜란드와 푸에르토리코에서 사용된 질문지를 기초로 하여 7개의 문항을 선별하였고, 한글 PEDI의 신변처리, 이동, 사회적 기능 각 영역별로 총 21개 문항으로 구성하여 사용하였다. 결과 : 내용 타당도 검증 결과는 한글 PEDI의 각 영역별 중요도를 묻는 항목에서 평균 97% 이상이 중요하다고 응답하였다. 항목의 추가 필요성에 대한 항목은 신변처리와 이동 영역에서 각각 18%, 항목의 삭제 필요성에 대한 항목은 신변처리 영역에서 21%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한글 PEDI의 문항 이해와 문화적 적합성, 기능 수준의 변화 측정과 장애 감별성에 대한 질문에서는 평균 73%의 응답자들이 적합하다고 보고하였다. 결론 : 본 연구에서는 한글 PEDI의 기능적 기술 부분의 신변처리 영역에서 1개 항목의 추가 및 삭제가 필요한 것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영역에서 한국 문화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추후 연구를 통해 수정 및 변형된 한글 PEDI에 대한 타당도와 신뢰도 연구가 진행되고, 항목 수정으로 인한 문항 난이도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established the content validity of a Korean Version of the Pediatric Evaluation of Disability Inventory (PEDI). Methods : Thirty-eight allied pediatric health professionals completed a validity questionnaire for the content validity research. The validity questionnaire was asked to complete a modified version of the questionnaire used in Dutch and Puerto Rico, to evaluate the Korean version of the PEDI. Results : At least ninety-seven percent of the respondents rated that the most important aspects of the each domain (self-care, mobility, social-function) in examining functional status were represented in the Korean version of the PEDI. Eighteen percent of the respondents need to add items to the self-care and mobility domains. Twenty-one percent of the respondents need to remove items from the self-care domain. The average of seventy-three percent of the respondents rated that the Korean version of the PEDI is feasible for discriminative and evaluative purposes, respectively. Conclusions :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professionals confirmed the functional content and feasi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EDI for outcome measurement in pediatric rehabilitation.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2. 연구 도구
  3. 연구 과정
  4. 자료 분석
 Ⅲ. 연구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정병록 | Jeong Byoung-Lock
  • 박소연 | Park So-Yeon
  • 유은영 | Yoo Eun-You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