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뇌졸중 환자의 사회관계망과 활동수준의 관계 KCI 등재

The Effects of Social Networks on the Activity Levels of Stroke Patients Living in a Communit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7675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대한작업치료학회지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대한작업치료학회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뇌졸중 환자의 사회관계망과 활동수준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2011년 4월 27일부터 2011년 6월 22일까지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뇌졸중환자를 대상으로 조사하 였다. 복지관, 보건소, 병원 등에 우편을 통하여 발송, 회수한 설문지를 포함하여 총 52부의 설문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수집 방법은 사회관계망과 활동수준에 대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1대1 면접방법을 사용하였다. 결과 : 뇌졸중 발병 후에도 활동을 유지하는 항목의 빈도를 분석했을 때, 휴식취하기, 텔레비전보기, 앉아서 사색하기 순 으로 나타났다. 사회관계망 분석 결과, 대상자가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사람의 유형은 1위가 배우자, 그 다음으로 자 녀가 많았고 이는 자연적 원조관계망이 전체 중 80.8%에 해당하는 높은 비율이었다. 그리고 접촉빈도가 많고, 거리가 가까운 사람과 중요한 관계를 맺는 경우가 많았다. 활동수준은 관계크기와 거리, 동질성, 접촉빈도와 유의한 상관관계 를 보였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하여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뇌졸중 환자들의 사회관계망이 자연적 원조관계망에 국한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고, 활동수준과 사회관계망의 상관관계에 대해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뇌졸중 후 지역사회에 복귀하는 환자들에 게 사회적응과 관련한 정보를 제공하여 지역사회중심재활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 networks of stroke patients living in the community and their level of activity. Methods : This study analyzed 52 survey questionnaires given to stroke patients living in the community. This survey questionnaires were sent out to community relief centers, health centers, hospitals, etc., and collected by mail from April 22, 2011 to June 22, 2011. The method of data collection was through person-to-person interviews using structuralized questionaries. Results : The most frequent activity after the onset of a stroke were resting, watching TV, and thinking while sitting.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ir social networks, the most important persons are their spouse and children in that order. 80.8 percent of survey respondents set a high value on natural supportive social networks. A high frequency of contact and persons living in close proximity make it easier to generate relationships. Among the items affecting the consistent activities for stroke patients, the ‘strength of the relationship (p<.05)’, ‘ distance (p<.01)’,‘ homogeneity (p<.05)’, and‘ frequency of contact (p<.01)’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outcomes. Conclusion : The factors that affect the social networks of stroke patients in a community were shown to be restricted to natural supportive social networks. We were able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between social networks and activity level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have a significance in providing a return to the community for stroke patients with an adaptive plan, and in offering education to providers. This research is also expected to secure the validity of systematic management.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2. 자료수집 방법 및 기간
  3. 연구 도구
  4. 분석 방법
 Ⅲ. 연구 결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대상자의 사회 관계망 특성
  3. K-ACS 항목별 특성
  4. 거주 지역별 사회관계망 특성의 차이 비교
  5. 사회관계망과 K-ACS 활동 수준의 상관관계
 Ⅳ. 고찰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김지현 | Kim Ji-Hyun
  • 김수경 | Kim Su-Kyou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