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암 환자의 수단적 일상생활활동 정도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일개 종합병원을 대상으로 KCI 등재

The Influence of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on the Quality of Life of Cancer Patients at a General Hospital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7675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500원
대한작업치료학회지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대한작업치료학회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암 환자의 특성에 따른 수단적 일상생활활동과 삶의 질 차이를 확인하고 이들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고 자 하였으며 암 환자가 필요로 하는 작업수행영역과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확인함으로써 암 환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하여 작업수행에 바탕을 둔 환자중심적인 작업치료의 필요성을 제언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암으로 진단을 받은 만 18세 이상의 입원이나 외래로 치료를 받고 있는 암 환자 3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설 문지를 통하여 대상자의 특성을 조사하였고 Frenchay Activities Index(FAI)를 이용하여 수단적 일상생활활동 정도를 측정하였으며,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COPM)으로 작업수행영역을 확인하고, SF-36으로 삶 의 질을 측정하였다.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수단적 일상생활활동 정도와 삶의 질은 독립표본 t-test와 ANOVA를 사용 하였고, 수단적 일상생활활동 정도와 삶의 질 간의 상관관계는 피어슨 상관관계분석(Pearson’s Correlation Efficient) 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작업수행영역에 따른 삶의 질을 확인하기 위해 기술통계와 ANOVA를 사용하였으며, 삶의 질 영향 요인은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결과 : 대상자는 입원 여부에 따라서 수단적 일상생활활동 정도에 차이가 있었으며, 직업, 경제상태, 입원 여부에 따라 삶 의 질에 차이를 나타내었다. 수단적 일상생활활동 정도와 삶의 질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작업수행영역 중 여가에 의의를 둔 대상자가 가장 많았으며 생산적인 활동에 응답한 대상자의 삶의 질이 가장 높았다.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는 수단적 일상생활활동과 경제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암 환자의 수단적 일상생활활동과 삶의 질은 유의한 관계가 있으며 암 환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하여 작업수행을 바탕으로 한 환자중심적인 작업치료의 역할이 강조된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of the quality of life with the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the present needs of occupational therapy to increase the quality of life for cancer patients. Methods : The study was based on 33 patients over 18 years of age, who were diagnosed with cancer and are being treated as inpatients or outpatients.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a Frenchay Activities Index (FAI),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COPM), and Short Form 36 Health Survey (SF-36) to measure the IADL, occupational performance, and quality of life. The outcomes were determined based on a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efficient, and hierarchi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 The difference in IADL was significant during hospitalization, and the patients’job, financial status, and hospitalization were significant in terms of their QOL.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IADL and QOL. The highest demand in the area of occupational performance was leisure, and respondents of productivity had a high QOL. The factors affecting QOL were IADL and financial status. Conclusion : IADL in cancer patients h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QOL. The role of occupational therapists is emphasized to improve the QOL of cancer patients in terms of occupational performance based on a patient-centered approach.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및 자료 수집 방법
  2. 연구 도구
  3. 분석 방법
 Ⅲ. 연구 결과
  1. 대상자의 특성과 수단적 일상생활활동(IADL) 및 삶의 질 차이
  2. 수단적 일상생활활동(IADL)과 삶의 질의 상관관계
  3. 대상자가 필요로 하는 작업수행영역과 삶의 질 비교
  4.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Ⅳ. 고찰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김보라 | Kim Bo-Ra
  • 심민정 | Shim Min-Jeong
  • 장수빈 | Jang Soo-Bin
  • 김혜민 | Kim Hye-Min
  • 이재신 | Lee Jae-Sh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