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신체장애 수시운전적성검사 실태 및 개선점

Current Conditions and Improvements of Driving Ability Test for Individuals With Physical Disabilit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7780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운전재활·사회참여학회지 (Journal of driver rehabilitation and social participation)
한국운전재활학회 (The Korean Society of Driving Rehabilitation)
초록

목적 : 본 연구의목적은 신체장애 수시운전적성검사 실태에 대해 분석해보고 개선점을 도출해 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의 방법은 전문가 포커스 인터뷰, 적성검사 담당자 설문조사, 전문가 의견조사로 크게 3가지로 나뉘어 진다. 전문가 포커스 인터뷰는 운전면허시험장의정기적성 검사 및 수시적성검사 업무 담당자, 재활의학과 의사에게 인터뷰 형식으로 진행하였다. 적성검사 담당자 설문조사는 적성검사 담당자(운전면허 시험장의수시적성검사 담당자) 30명과 민원담당관 4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마지막으로 전문가 의견조사는 재활의학과 의사 11명에게 신체장애 수시운전적성검사 실태 및 개선점에 대한 의견을 취합하였다.
결과 : 연구 결과 가벼운 신체장애의경우 통보대상에서 추가 혹은 삭제가 필요한 질환군이 검토되어야 할 것이고 신체장애 관련 대상자 선정방식 적정성이 검토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도출되었다. 또한 운동능력평가기준 판정방법의적정성 판단이 필요할 것이라는 의견이 있었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신체장애 운전적성검사의문제점 및 개선점을 도출하였다. 또한 운전재활전문가의도입의 중요성이 다시한번 대두되었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driving ability test for individuals with physical disability and to elicit the improvement points.
Methods : We had total 3 kinds of methods such as expert focus interview, driving ability test manager survey, expert feedback interview. For an expert focus interview, driving ability managers and rehabilitation medicine doctors interviewed about problems about driving ability test for individuals with physical disability. For driving ability test manager survey, 43 complaints Officers and 30 driving ability managers participants surveys. Also, we interviewed 11 rehabilitation medicine doctors for expert feedback interview.
Results : As results of this research, most of the opinions showed that subjects that are noticed are reviewed in case of individuals with mild physical disabilities. Subjects selection method also need to be reviewed. In addition, driving performance evaluation standard needs to be improved.
Conclusions : We investigated that driving ability test for individuals with physical disability needs to be reviewed from various angles such as subjects selection method and driving performance evaluation. Also, we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driving rehabilitation experts.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전문가 포커스 인터뷰
    2. 적성검사 담당자 설문조사
    3. 전문가 의견조사
Ⅲ. 연구 결과
    1. 전문가 포커스 인터뷰
    2. 적성검사 담당자 설문조사
    3. 전문가 의견조사
Ⅳ. 고찰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조상현(연세대학교 보건과학대학 물리치료학과) | Cho Sang-Hyun (Dept. of Physical Therapy, College of Health Science, Yonsei University)
  • 박혜연(연세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작업치료학과) | Park Hae Yean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Health Science, Yonsei University)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