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때죽나무의 지위지수 추정 모델 개발 KCI 등재

Development of Site Index Model for Styrax japonic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7784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농업생명과학연구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초록

본 연구는 우리나라 때죽나무의 생장예측함수를 통해 지위지수 모델을 개발하고자 한다. 4가지 생장 모델을 추정 후 적합도가 가장 높은 모델을 선택하여 지위지수 분류곡선을 유도하였다. 적합도 검정은 적합도 지수와 편차, 평균제곱근오차를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Chapman-Richards 모델의 적합도지수 가 0.49248로 가장 높았고, 평균제곱근오차는 가장 낮은 값을 보여 적합한 모델로 선택되었다. 유도곡 선법으로 지위지수 분류곡선을 유도하였고, 지위지수의 범위는 6~14까지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를 통 해 자료가 부족한 때죽나무에 대한 생장정보 제공 및 미래생장 예측과 경영계획 수립을 위한 정보제공 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use a growth prediction model for the Japanese snowbell (Styrax japonica) to develop a site indexing model. After estimates were produced using four growth models, the best-fitting model was chosen and used to derive a site index curve. The goodness of fit test used the fitness index (FI), bias, and root mean square error (RMSE). Results of the analysis indicated that the Chapman-Richards model achieved the highest FI, with a value of 0.49248, and the lowest RMSE value. It was therefore chosen as the most suitable model. The guide curve method was used to generate a site index curve; analysis found the site index to range from 6 to 14. It is believed that this outcome will enable the provision of growth information, prediction of future growth, and establishment of management plans for Styrax japonica, about which insufficient data exists.

목차
초록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1 분석자료
    2 수고 생장 추정
    3 적합도 검정
결과 및 고찰
    1 수고 생장모델 추정과 적합도 검정
    2 지위지수 곡선 유도
    3 지위지수 추정
References
저자
  • 박준형(국립산림과학원 산림바이오소재연구소) | Joon Hyung Park (Forest Biomaterials Resources Research Center)
  • 이광수(국립산림과학원 산림바이오소재연구소) | Kwang Soo Lee (Forest Biomaterials Resources Research Center)
  • 손영모(국립산림과학원 산림바이오소재연구소) | Yeong Mo Sonk (Forest Biomaterials Resources Research Center)
  • 정수영(국립산림과학원 난대아열대연구소) | Su Young Jung (Warm Temperate and Subtropical Forest Research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 김형호(경상대학교 산림환경자원학과(농업생명과학연구원)) | Hyung Ho Kim (Department of Forest Environmental Science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Institut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