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개발사례를 통한 지속가능한 공공시설물 디자인의 관점 및 방향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the Perspective and Direction for Sustainable Public Facility Design through the Case of Developmen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2210
  • DOIhttps://doi.org/10.18555/kicpd.2019.58.19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Journal of Cultural Product & Design)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Korean Institute of Cultural Product Art & Design)
초록

우리사회의 경제적, 문화적 발전은 민간부문 중심의 산업디자인 분야만이 아닌 공공디자인 분야에서도 지속적인 수준향상과 발전을 가져왔다. 특히,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활발히 추진되어 온 공공디자인 사업은 기능적 편리함은 물론 공간의 아름다움과 지역의 정체성 확립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발전을 거듭하여왔다. 그러나 이러한 발전에도 불구하고, 사업 주체간의 경쟁적, 성과위주의 공공디자인 개발사업은 공공시설물의 지속가능한 사용 측면에서 가로경관을 해치거나 사용되지 못하고 방치되는 등의 여러가지 문제점을 나타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설치공간을 특성에 따라 도시공간, 자연공간, 문화공간으로 분류하고 각 설치공간에 따른 연구자의 실제 공공시설물 디자인 개발사례를 활용하여 공공시설물 디자인 개발에 있어 지속 가능한 사용 측면의 주요문제점을 발굴하여 이를 통해 문제해결을 위한 구체적인 디자인 방향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현재 공공시설물의 주요문제점을 형태, 색채, 재질을 포함한 외관디자인 관점, 공공시설물의 생산성, 설치 및 철거용이성, 유지보수의 효율성 등을 포함하는 공급자 관점, 마지막으로 사용성과 유무형의 콘텐츠 등을 포함 하는 수요자 관점으로 나누어 사례와 함께 문제점의 원인을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공공시설물의 문제점 및 원인 분석과정을 거쳐 지속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공공시설물의 디자인 개발을 위해 첫째, 설치공간과의 조화를 위해 과도한 대상물의 상징, 직접적이고 사실적인 묘사가 아닌 은유적이고 절제된 표현이 외관디자인 관점에서 중요하며 둘째, 디자인 개발단계부터 시설물의 구조적 접근에 따른 부분별 디자인을 통한 생산, 조립, 설치 방식의 표준화 개발과 셋째, 모든 사용자를 위한 물리적, 감성적 사용성과 유무형 콘텐츠 측면의 가치 발굴이 중요함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연구과정 및 결과를 바탕으로 기존의 공공시설물 디자인 접근 방식에서 벗어나 외관디자인, 공급자, 수요자 관점의 복합적인 디자인 접근이 지속적인 사용이 가능한 공공시설물디자인 개발에 가장 중요함을 연구의 결론으로 제시하였다.

The economic and cultural development of our society has brought continuous improvement and development not only in the private sector-oriented industrial design field but also in the public design field. In particular, public design projects, which have been actively promoted by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have developed and played an important role in establishing the beauty of the space and the identity of the region as well as functional convenience. However, despite these developments, the competitive and performance-oriented public design development projects among the project owners have shown various problems such as adversely affecting the landscape and being left unused in terms of sustainable use of public facilities. First, this study categorized urban space, natural space, and cultural spac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stallation space. The major problems were identified and the specific design directions from the design perspectives were suggested. To this end, the main problems of the current public facilities were divided into the appearance design perspective including form, color, and material, the supplier’s perspective including the productivity of the public facilities, the ease of installation and demolition, the efficiency of maintenance and finally, the demand perspective including the usability and intangible contents and suggested the cause of the main problems through the each cases. In order to develop the design of public facilities that can be continuously used after analyzing the problems and causes of public facilities, first, metaphorical and restrained expression is important to harmonize with the installation space. Third, we proposed the development of standard design through modular design, and thirdly, the approach of physical and emotional usability and tangible and intangible contents for users was important.

목차
1. 서론
2. 주요문제점 발굴 및 원인 분석
3. 디자인 방향 제시 및 개발사례
4. 결론
참고문헌
저자
  • 오승호(건국대학교 일반대학원 산업디자인전공) | Oh Seung Ho